[북러 회담] 北, 러 국방·외무장관에 "회담장서 나가시오"
기사 작성일 : 2024-06-20 19:01:03

북한 방문한 러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국방장관


[로이터/크렘린풀=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모스크바= 최인영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수행해 북한을 방문한 러시아 고위 관리들이 북러 정상회담장에서 '잠시' 쫓겨났었다고 렌타 등 러시아 매체들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9일 평양 금수산영빈관 회담장에 있던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국방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데니스 만투로프 제1부총리 등 러시아 대표단에 북한 측 관계자가 퇴장해달라고 요청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확대 정상회의에 배석한 참모진이다. 비탈리 사벨리예프 부총리, 미하일 무라시코 보건장관, 유리 보리소프 로스코스모스(연방우주공사) 사장도 있었으나 역시 회담장에서 나가야 했다.

이들은 미리 회담장에 들어와 자신의 자리에 앉아 가방에서 서류를 꺼내던 참이었다고 한다.

러시아 대표단이 방에서 나가야 하는 이유를 묻자 북한 측 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먼저 회의실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올가 케보르코바 국가소통센터(의전 학교) 소장은 러시아와 북한의 의례 방식 차이에서 비롯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회담장 입장 순서와 방식이 각기 달랐다는 것이다.

그는 의전에 대한 국제적 규범이 있지만 나라마다 관행이 다른 경우도 있다면서 "러시아에서는 모든 것이 준비되면 대통령이 회장에서 들어온다"며 대통령을 제외한 모든 참가자는 미리 정해진 자신의 자리에서 문서를 준비해둔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편리하고, 러시아 대표단은 이런 방식에 익숙하다"고 해설했다.

반면 일부 국가에서는 최고 지도자가 들어온 이후에 대표단이 입장한다며 "이는 그들의 권리"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달 하마드 빈 이사 알칼리파 바레인 국왕이 러시아 크렘린궁에서 푸틴 대통령과 회담했을 때는 러시아 대표단이 자리에 앉은 뒤 지도자들이 입장했고, 이어 바레인 대표단이 자리를 잡는 것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케보르코바 소장은 의전 문제는 회담 전 별도로 논의되지만 이번에는 그런 과정이 없었기 때문에 러시아 대표단이 익숙한 방식으로 행동했던 것이라고 추측했다.

의전 전문가 알비나 홀고바는 북한 측이 실제로 북한 정치인 사이에서 받아들여지는 관행을 요구한 것이라면 러시아 장관들에 요구한 사항에 대해 불쾌해할 것까진 없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