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인사들, 실업률 상승 경계 목소리
기사 작성일 : 2024-06-25 10:00:59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로이터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주종국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들 사이에서 실업률 상승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연달아 나왔다.

기준금리 인하를 조금 더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24일(이하 현지시간)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실업수당 청구가 증가하면 실업률이 상승한다. 다른 여러 지표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냉각되고, 소비자 지출이 약화되기 시작하면 연준은 인플레이션과 고용 양쪽의 균형을 맞추는 것에 대해 더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너무 오랫동안 규제를 강화한다면 실물 경제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런 정책 설정이 경제를 너무 둔화시키는 것은 아닌지 걱정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굴스비는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매우 긴축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현재 연준의 통화정책을 평가했다.

그는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정책 당국자들이 현재 5.25%~5.5%인 연준의 기준금리가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려 하고 있는 미국 경제에 적절한 수준인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자신을 인플레이션 측면에서 '개선될 것을 믿는 낙관론자'라고 설명한 굴스비 총재는 금리 인하를 시작하기 위해 물가상승률이 더 낮아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준은 연초 예상보다 높았던 인플레이션 압력이 낮아지고 있다는 확신을 좀 더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이날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행사 연설에서 "미국 노동 시장이 변곡점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추가적인 경기 둔화는 실업률 상승을 의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은 우리가 직면한 유일한 위험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인플레이션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가지 임무를 모두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노동시장은 천천히 조정되었고, 실업률은 조금씩 상승했다"면서 "하지만 이런 긍정적 결과가 나오기 힘든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