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핵무장론 논쟁 점화…"이제 핵 가져야" "당장 힘들어"
기사 작성일 : 2024-06-25 13:00:02

국민의힘 당권주자 나경원 원희룡 윤상현 한동훈


[촬영 임화영 이정훈 임순석]국민의힘 당권주자 나경원 의원(왼쪽부터),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윤상현 의원,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안채원 김철선 조다운 기자 = 한국전쟁 74주년을 맞은 25일 여권에서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이 이슈로 떠올랐다.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와 러시아와의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 등 한반도 정세가 급랭하면서 보수 지지층이 민감한 안보 문제가 부상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당권 주자인 나경원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합니다"라며 가장 먼저 핵무장론을 띄웠다.

나 의원은 이날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보수 성향 조직 '새로운미래준비위원회(새미준)' 정기 세미나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될 수밖에 없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는 경우 미국의 (대북) 태도도 바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여권 인사들도 핵무장론에 힘을 실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새미준 세미나 강연에서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소형·경량화했다"며 "우리가 핵을 갖지 않으면 핵 그림자 효과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페이스북에 "북핵 해법은 남북 핵균형 정책뿐"이라고 적었다.

반면 나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당권 경쟁자 3명은 핵무장론을 두고 속도 조절 또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였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대표 후보 등록을 마친 뒤 기자들에게 "핵전력을 활용한 안보 강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제정세가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필요하면 핵무장의 잠재적 역량을 갖추는 데까지는 가자"고 말했다.

다만 한 전 위원장은 "지금 단계에서 바로 핵무장으로 가면 국제사회 제재를 받고 국민들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국회에서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 면담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윤상현 의원도 "지금 당장 핵무장은 힘들다"고 했다.

윤 의원은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지키는 한도 내에서 한반도 영해 밖에 핵무기를 탑재한 잠수함, 전략자산을 갖다 놓고, 한국과 미국 간 핵 공유협정을 맺는 게 훨씬 더 현실적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역시 페이스북에 "독자적인 핵무장 추진이 말로 되는 것은 아니다. 당장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원 전 장관은 "지난해 한미 양국은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핵우산 강화' 성과를 얻었다"며 "지금은 핵무장에 앞서, 워싱턴 선언의 실효성 확보를 통해 대북 핵 억제력을 강화할 때"라고 강조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