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100m 태극기 게양대 세운다(종합2보)
기사 작성일 : 2024-06-25 16:00:07
영상 기사
광화문에 국가상징공간…100m 태극기·꺼지지않는 불꽃 선다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기훈 최윤선 기자 = 100m 높이에 태극기가 게양된 대형 조형물, 영원한 애국과 불멸을 상징하는 '꺼지지 않는 불꽃'이 서울 광화문광장에 들어선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5일 제74주년 6·25를 맞아 인천상륙작전과 9·28 서울 수복 등에서 헌신한 참전용사 7명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광화문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오 시장은 "6·25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의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숭고한 뜻을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해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 시설인 대형 태극기와 꺼지지 않는 불꽃을 건립해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국가상징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국 워싱턴DC 내셔널몰의 '워싱턴 모뉴먼트'(워싱턴 기념탑),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의 '에투알 개선문', 아일랜드 더블린 오코넬 거리의 '더블린 스파이어'처럼 역사·문화·시대적 가치를 모두 갖춘 국가상징 조형물을 만들어 광화문광장을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간직한 국가상징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이다.

광화문광장은 경복궁을 중심으로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역사적 장소이자, 세계인이 모여드는 글로벌 문화예술 중심지다. 또 소통·자유·호국으로 대변되는 주체적 시민의식의 발현지로서 국가상징공간 최적지라고 시는 설명했다.

구체적 설치 장소는 세종로공원(세종문화회관 북측) 전면부 부근이다.

첫 국가상징 조형물은 태극기가 중심이 된다.

특히 단순한 국기 게양대가 아닌 예술성과 첨단기술력이 집약된 작품으로 조형물을 만들 계획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국가 행사 때는 먼 거리에서도 위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빛기둥과 미디어 파사드(15m 내외)·미디어 플로어 등으로 연출된다.


광화문광장 국가상징 조형물 조감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승원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태극기가 게양된 대형 조형물의 높이를 100m로 정한 데 대해 "주변 건물 가운데 외교부 청사가 92m로 가장 높아 주변보다 높은 위치에 잘 보일 수 있도록 100m로 정했다"며 "설계 과정에서 높이는 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 조형물 앞에는 두 번째 상징물인 꺼지지 않는 불꽃을 설치한다.

기억과 추모를 상징하는 불을 활용해 일상에서 호국영웅을 기리고 추모하며 국가의 영속을 기원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상징공간 부지 옆 세종로공원도 조성 30여년 만에 '도심 속 시민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광화문광장과 자연스럽게 연결해 일체화된 녹지공간으로 조성되며 광장 주변에 유일한 거점형 편의시설도 마련해 특색있는 콘텐츠를 선보인다.

특히 옥상 공간을 녹지로 덮어 시민 누구나 도심 속에서 휴식과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야외 숲속 레스토랑을 비롯해 지상·지하 안내센터, 시민휴게소 등 공용공간도 마련한다.


6·25 참전용사와의 간담회 참석한 오세훈 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오전 74주년 6·25를 맞아 시청에서 참전용사를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참전유공자 7명이 참석했다. 2024.6.25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화문광장 내 국가상징공간과 조형물, 세종로공원은 조화와 상징성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도록 8∼11월 통합설계공모를 추진한다.

2025년 4월까지 기본·실시 설계 후 5월 착공할 계획이다. 국가상징공간은 2026년 2월, 세종로공원은 2026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예산은 세종로공원과 국가상징 조형물 조성에 각각 약 500억원과 110억원이 투입된다.

국가상징 공간, 국가상징 조형물, 세종로공원은 설계 공모 확정 때 디자인과 용도 등이 최종 확정된다.

오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도 글을 올려 정부 청사보다 높고 국내 국기 게양대 중 가장 높은 100m 높이에 태극기를 걸고 꺼지지 않는 불꽃으로 호국보훈 정신을 기리겠다고 밝혔다.

이어 "여기에 더해 한민족을 상징하는 팔도의 소나무로 태극기 게양대 일대에 소나무 숲을 조성해서 명실상부한 국가상징공간으로 만들겠다"며 "진정한 명소가 되기 위해 세종로공원 일대의 지상과 지하에는 다양한 먹거리 장소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최은석 대한민국 6·25참전유공자회 송파구 지회장은 "광화문 1번지라는 좋은 장소에 국가상징물을 세워주신다니 참전용사 입장에서는 큰 영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서울시 발표에 대해 일각에선 '애국주의적 발상'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광화문광장에는 이미 이순신 동상과 세종대왕 동상이 자리하고 있는 만큼 시민이 자유롭게 오가야 할 광장에 국가주의적 조형물을 과하게 조성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미 세종대왕 동상이나 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는데 게양대까지 설치하는 것이냐', '누구를 위한 광화문광장인 거냐'와 같은 댓글이 달렸다.

문화연대도 앞서 지난달 3일 제323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광화문 광장에 게양대를 설치하고 국기를 연중 게양하는 내용의 광화문 광장 사용 조례안이 통과되자 성명을 내고 "애국심을 국가주의와 민족주의적 이데올로기로만 해석하는 시대착오적이고 구시대적인 사고방식"이라고 주장했다.

오 시장은 최근 "국민적 공감대가 우선"이라는 전제를 달기는 했지만 광화문 광장과 멀지 않은 열린송현녹지광장에 이승만 기념관 건립을 검토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영상 기사
광화문에 국가상징공간…100m 태극기·꺼지지않는 불꽃 선다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