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인구 5명 중 4명은 미혼…30∼34세 미혼 20년 만에 3배로"
기사 작성일 : 2024-06-27 13:00:22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 박재현 기자 = 청년 인구 5명 중 4명가량은 미혼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초·중반 청년세대 미혼율은 20년 전보다 3배가량 늘어났다.

통계청 통계개발원은 2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청년의 모습은 어떻게 변했을까'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CG)


[TV 제공]

◇ 청년 인구 비중 30년 새 10% 줄어…미혼율 81.5%

통계개발원 분석에 따르면 총인구 중에서 청년세대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에 31.9%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2020년 청년 인구 비중은 20.4%까지 내려갔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2050년에는 청년 인구 비중이 11.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세대 혼인율 또한 지속 감소해 2020년 기준 81.5%가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86.1%, 여자는 76.8%의 청년이 혼인하지 않은 상태였다.

미혼율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한 연령대는 30∼34세였다. 2020년 미혼율이 56.3%로 20년 전(18.7%)의 3배 수준으로 늘었다.

대학 이상 졸업자의 비중은 2010년에 50.5%로 처음으로 절반 이상을 넘어섰다. 2020년 대학 이상 졸업자는 53.0%로 남자 58.4%, 여자 47.8%였다.

청년 세대 중 경제활동인구의 비중은 2020년 62.5%로 나타났다. 남자와 여자는 각각 63.9%, 61.1%가 경제활동인구였다.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수도권 청소년 5명 중 2명은 '스트레스받아' 응답…만족 비율 감소세

통계개발원은 다양한 국가 승인 통계를 활용해 '국제 아동 지표 체계 기반 수도권 아동·청소년 웰빙 현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21년 수도권 아동·청소년(만 0∼17세) 중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39.7%로 비수도권(37.9%)보다 1.8%포인트(p) 높았다.

시도별로는 경기(40.2%)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서울(39.6%), 인천(37.6%) 순이었다.

수도권 청소년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2022년 60.5%로 2020년(62.5%)보다 감소했다.

수도권 청소년 중 친구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22년 71.9%였다.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엔데믹 이후 오락문화 지출 회복세…단체여행비 지출 1위로

'가계동향 조사를 통해 본 가구의 오락·문화 지출 변화' 분석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오락·문화 지출은 2019년에 18만원에서 2020년에는 14만원으로 하락했다.

코로나19의 여행으로 단체여행비 등 외출 관련 활동의 지출이 급감한 영향이다.

오락·문화 지출은 2022년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 이후 점차 상승해 2023년 20만1천원까지 증가했다.

항목별 지출 비율을 보면 단체여행비가 24.3%로 가장 높았고 문화서비스(22.7%), 운동 및 오락 서비스(15.7%) 순이었다.

반려 동식물 가구 증가에 따라 월평균 반려 동식물 지출도 2019년 1만4천원에서 2023년 2만1천원으로 증가했다.

자세한 보고서 내용은 KOSTAT 통계 플러스 여름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