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의 도박' 佛총선 이틀앞으로…극우, 다수당 되나
기사 작성일 : 2024-06-28 07:00:58

(런던= 김지연 특파원 = 프랑스 차기 총리와 정부 내각 구성을 결정할 조기 총선 1차 투표가 30일(현지시간) 치러진다.

이번 선거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이달 초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 국민연합(RN)에 참패하자 RN 상승세를 저지하고 국정운영의 동력을 확보하겠다며 던진 도박과 같은 승부수다.

RN이 선두를 유지하고 집권 여당 연합은 3위에 그치는 현재 여론조사대로라면 대통령과 총리의 당이 다른 '동거 정부'가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거리의 선거 벽보


[A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여론조사선 RN 과반 안되는 1위…내달 7일 결선서 판가름

이번 선거의 최대 관심사는 극우 RN이 다수당이 되느냐다.

27일 파이낸셜타임스(FT)가 추적한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RN이 1차 투표에서 35.3%, 좌파 정당 연합인 신민중전선(NFP)이 28.3%, 여당 르네상스의 연대 세력인 앙상블이 20.1%의 득표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하원 577석 중에서 여당 연합은 과반(289석)에 미치지 못하는 250석이며 좌파 연합이 149석, RN 88석, 공화당이 61석이다.

여론조사업체 엘라베에 따르면 투표의향 조사를 토대로 의석수를 예측할 때 RN이 250∼280석, NFP는 150∼170석, 앙상블은 90∼110석, 공화당은 10∼12석을 얻을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프랑스 총선은 결선 투표제도가 있어 여론조사만으론 의석수 분포를 전망하기는 어렵다. 결선 진출 시 후보간 합종연횡이 일어날 수 있고 유권자도 반대하는 정당을 낙선시키기 위해 1차 투표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차 투표에서 25% 이상 투표율에 득표율 50% 이상을 달성한 후보는 바로 당선되지만 모든 후보가 과반 득표에 미달하면 12.5% 이상 득표한 후보만 결선을 치른다.

통상 대부분 지역구가 1차 투표로 당선인을 내지 못하는 만큼 최종 승부는 내달 7일 결선에서 판가름 날 공산이 크다.


마크롱 대통령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중도 대통령-극우 총리' 동거정부 탄생하나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혼합형인 프랑스에는 대통령이 국가원수로서 외교·국방·행정에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며 총리는 정부 수반으로서 내각을 조직해 대통령에게 임명을 제청하고 행정부를 지휘한다.

대통령이 다수당이나 다수 연정의 지지를 받는 인물을 총리로 임명한다.

현재 총리는 마크롱 대통령의 정치적 제자인 가브리엘 아탈(35)이다.

그는 프랑스 역사상 최연소인 34세에 총리가 됐지만 RN이 다수당이 된다면 RN 대표 조르당 바르델라(28)가 이 기록을 깰 수 있다.

실질적 지도자인 마린 르펜이 직접 내세운 정치 신예 바르델라 대표는 나이와 외모, 언변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며 젊은 층 사이에서 RN의 인기를 끌어올리고 있다.

이 경우 프랑스 역사상 4번째로 대통령과 총리의 당이 다른 '동거정부'가 탄생하게 된다.

동거정부는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자크 시라크 총리(1986~1988), 미테랑 대통령-에두아르 발라뒤르 총리(1993~1995), 시라크 대통령-리오넬 조스팽 총리(1997~2002) 등 역대 3차례 있었다.


AFP 미디어상황실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마크롱 "2027년 임기 끝까지"…28세 극우 대표 충돌 예고

극우뿐 아니라 좌파 연합에도 여론조사에서 밀리는 마크롱 대통령으로선 어느 쪽이든 동거정부가 탄생하면 조기 총선 승부수는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된다.

이 때문에 마크롱 대통령은 극우, 극좌의 총선 승리를 잔뜩 경계하고 있다. 지난 24일엔 한 팟캐스트에서 이들이 총선에서 이기면 근본적 정책 성향 때문에 내전이 터진다고 말해 조급한 속내가 드러나기도 했다.

동거정부가 현실화한다면 마크롱 대통령과 집권당은 발목이 잡힐 가능성이 크다.

바르델라 대표는 최근 FT와 인터뷰에서 총리가 돼 대통령이 주재하는 각료회의에 처음 참석하게 된다면 마크롱 대통령에게 무슨 말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이제 상황은 바뀔 것이라고 말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슬람 이민사회를 겨냥한 법률 제정에 나서겠다면서 '문화 전쟁'도 천명했다.

이 때문에 마크롱 대통령의 중도 사임설이 부상했지만 그는 2027년 5월 두 번째 임기가 끝날 때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하겠다고 거듭 확인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