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불려나온 노동·환경장관, '제2의 아리셀' 방지 약속(종합)
기사 작성일 : 2024-06-28 16:00:18

답변하는 이정식 장관


신준희 기자 = 28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4.6.28

이재영 기자 = 2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업체 화재와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관리감독 소홀 지적에는 '인력 부족'을 호소하기도 했다.

이정식 장관은 "공장 화재 사고가 반복되지 않게 위험성 평가 등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긴급 재점검하고 개선사항은 즉시 조처하겠다"라면서 "현재 진행 중인 50인 미만 사업장 대상 산업안전대진단 추진상황을 면밀히 점검한 뒤 문제점은 조속히 시정하고 정부 지원을 신속히 연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의식과 문화가 중요하다"라면서 "외국인 근로자 등 취약 근로자도 위험요인을 쉽게 이해하고 피할 수 있도록 안전문화의식을 확산시키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화진 장관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보유한 사업장이 안전관리 기준을 충실히 준수하고 방재소화설비를 적절히 구비했는지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설비개선과 컨설팅을 지원해 화학사고를 예방하겠다"라고 말했다.

또 아리셀 화재와 관련해서는 "유해화학물질 유출 여부를 확인하는 주변 지역 대기오염 농도 모니터링을 상황 종료 시까지 지속하겠다"라고 밝혔다.

아리셀이 취급한 화학물질 중 리튬은 일반화학물질이지만 전지 전해액으로 사용된 염화싸이오닐과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수산화나트륨산은 유해화학물질이다.

환경부는 현재까지 아리셀 공장 주변에서 유해화학물질이 검출되지 않거나 배경농도(인간 활동의 영향을 배제한 자연적 환경에서 농도)보다 낮은 수준으로 검출됐다고 밝혔다.

또 화재 발생 장소인 아리셀 공장 3동 2층 아래 1층에 있던 폐전해액과 잔류 전해액 1천200ℓ를 수거해 안전하게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전해액은 전지에서 음극과 양극 사이 전자가 오가는 통로로 불붙기 쉽다.

노동부는 전지 제조업체 중 위험성이 높은 100여곳을 대상으로 긴급 현장 점검을 실시했고 7월 중 관계부처 합동 기획점검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지 등 화학 위험 방재 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재발방지책을 마련하겠다고도 했다.

이날 이정식 장관은 "대형 사고가 반복되는 데 대해 소임을 맡은 장관으로서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감독 소홀 지적이나 제도 개선 요구엔 대체로 수긍했다.

유해·위험설비가 있는 경우 누출·화재·폭발 등을 방지하고자 노동부에 제출해 심사받는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대상에 일·이차전지 제조업에 빠졌단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적에 이 장관은 "신기술과 관련해 깊게 고민하고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대상에) 포함할지 검토하겠다"라고 답했다.

다만 아리셀 산업안전감독이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 지적에는 "위험사업장 13만여곳을 정밀하게 체계적으로 감독하고 있으나 산업안전감독관 1명이 2천여개 사업장, 2만여명 노동자를 점검하고 감독해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점검과 감독으로 모든 것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라고 설명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