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트럼프의 반중 정서 지렛대 삼아 국익 도모해야"
기사 작성일 : 2024-11-13 20:01:05

악수하는 트럼프 당선인과 모디 인도 총리(오른쪽)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2020년 2월 25일(현지시간) 인도 수도 뉴델리 소재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뉴델리= 유창엽 특파원 = 인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집권 2기를 맞아 중국에 대한 그의 반감을 지렛대로 활용해 국익을 도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도의 대표적 싱크탱크 옵서버 리서치 파운데이션(ORF)의 부이사장인 하르시 V. 판트와 ORF 중국 전공 연구원인 칼피트 만키카르는 13일(현지시간) 인도 일간 힌두스탄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필진은 우선 트럼프가 집권 1기(2017∼2021)때 미국이 1970년대 말 중국과 수교한 이래 경제·과학·문화 등의 분야에서 유지해오던 협력관계를 서서히 단절하기 시작하면서 무역과 지정학, 보안 등의 분야에서 미국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했다고 짚었다.

트럼프는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매겼고 중국으로 하여금 미국 제품 수입을 늘리도록 유도했으며 중국의 지적재산권 문제도 다뤘다는 것이다.

필진은 이어 중국에 반감을 지닌 트럼프의 이번 대선 승리로 중국 측은 자국의 정치·경제적 궤도(정책 방향)에 대해 걱정하게 됐다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정권 교체를 통한 중국 공산당 축출 시도가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을 표출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또 경제적으로는 중국이 국내총생산(GDP) 5% 성장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경제학자들은 추정한다고도 했다.

필진은 트럼프 당선인이 집권 2기에 반중 정서를 정책을 반영할 경우 빚어질 상황을 인도가 선용해야 한다면서 서방 국가들이 중국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 투자처를 다른 곳으로 돌리는 가운데 인도가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집권 1기에 인도와 미국 간 군사협력이 활발히 이뤄졌다고 상기하고 인도가 국경분쟁을 겪는 중국과 실질통제선(LOC)을 사이에 둔 군사적 대립 해소 조치를 최근 취해오고 있지만 (대미 협력을 통해) 억지력 강화에 여전히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필진은 아울러 트럼프 집권 1기를 규정하는 대표적 특징 중 하나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소다자주의(전세계가 아니라 특정 지역에서 다자간 소통을 우선함) 현상을 보여준 점이라며 2017년 대중국 견제 안보협의체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가 부활한 점을 일례로 들었다.

이어 인도로서는 집권 1기 때 인도의 우려들에 수용적이었던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포용정책을 계속 써야 하며, 그러면 최근 수년간 서서히 의견 마찰을 빚은 (파키스탄 등) 이웃 국가들을 놓고 인도와 미국 간 (대테러 등 분야에서) 협력이 더 강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