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날 세상 떠난 '농촌교육' 선구자…정지웅·김지자 교수 부부
기사 작성일 : 2025-01-16 11:00:31


[새마을운동아카이브 캡처]

이충원 기자 = 대학교 1년 선후배로 만나 59년간 해로하며 '농촌(농민)교육'의 꿈을 함께 꾼 정지웅(鄭址雄)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명예교수와 김지자(金智子) 서울교대 명예교수 부부가 지난 14일 경기도 용인 죽전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16일 전했다. 정 교수는 향년 만 84세, 김 교수는 만 83세다.

유족에 따르면 김 교수가 작년 말부터 의식불명 상태로 입원해있던 남편의 병간호 중 잠시 부근 운동시설에 갔다가 쓰러져 14일 오후 2시15분께 작고했고, 정 교수는 6시간 후인 오후 8시20분께 유명을 달리했다.

정 교수는 충북 청주, 부인 김 교수는 예전에는 충북에 속했던 조치원(현 세종시)에서 태어났다. 정 교수는 1958년, 김 교수는 1959년 서울대 교육학과에 들어가 선후배로 인연을 맺었다. 한국전쟁 피난 시절부터 '어떻게 하면 농촌을 살릴 수 있을까'를 고민한 끝에 농촌교육에 관심을 두고 교육학과에 들어간 정 교수는 1학년 때부터 '농촌사회연구회'라는 동아리에서 활동했고, 교육사회학에 관심을 둔 김 교수도 남편의 열정에 끌려 같은 꿈을 품었다.

1966년 결혼한 부부는 애초 1970년에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서 미국 유학을 떠날 계획이었지만, 농촌사회 문제에 더 관심이 있다는 남편의 주장으로 1969년 필리핀으로 함께 유학을 떠났다. 김 교수가 대학 졸업 후 잠시 동아일보 기자로 일할 때 필리핀 취재를 한 적이 있다는 인연도 부부의 필리핀행을 거들었다.

귀국 후인 1973년 부부가 함께 '지역사회개발:그 이론과 실제'라는 책을 펴낸 것을 계기로 때마침 시작된 새마을운동에 관심을 뒀다. 1966년부터 서울대 농대에서 강의한 정 교수는 1977년 설립된 서울대 새마을운동 종합연구소에 관여하다 1980년 부소장, 1985∼1987년 소장을 맡으며 새마을운동 연구에 집중했다. 1986년 농업교육학회, 1994∼1996년 한국사회교육협회, 1998년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1999년 한국농촌계획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2000년에는 아시아농촌사회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새마을운동 외국 전파에도 기여했다. 중국은 물론이고, 케냐의 하람비(Harambee) 운동, 스리랑카의 사르보다야(Sarvodaya)운동 등이 새마을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2005년 퇴직 후에는 2013∼2017년 한국문해교육협회장을 맡기도 했다.

모든 순간에 부인 김 교수가 함께 했다. 약시(弱視)로 운전을 못 하는 남편 대신 차를 몰았고, 가족계획 운동과 농촌 문해교육 운동도 부부가 힘을 합쳤다. 한국문해교육협회에선 국제이사를 맡았다.

정 교수는 새마을운동 아카이브 구술 채록 당시 "처음에는 도농 격차 때문에 군사 정부에 불만이 있었다"며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하면서 그 격차가 줄어들고 농촌이 부흥을 이루는 걸 보고 '이 나라가 뭔가 돼가는구나'라고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인터뷰에서는 "1970년대에 우리 부부가 가족계획운동에 종사했다. 지금 저출산 문제가 어쩌면 우리 책임인 것 같다"며 "새마을운동이 이제는 저출산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도 했다.

정 교수는 '농촌사회학'(1982), '지역사회개발론'(1983), '한국의 농촌:그 구조와 개발'(1984), '사회교육학개론'(1986), '평생교육원론'(1987) 등 저서를 남겼다.

정 교수의 제자인 송병국 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장(순천향대 교수)은 "요즘 널리 퍼진 '평생교육'의 시작은 농촌(농민)교육이었다"며 "1960년대부터 농민교육에 관심을 두고 그 관심을 지역사회개발과 문해교육으로 확장한 분들"이라고 말했다.

유족은 1남2녀(정광호·정선희·정양희)와 며느리 이현정씨, 사위 황용하·전우열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1호실, 발인 18일 오전 8시, 장지 충북 진천 선영. ☎ 02-2258-5940

※ 부고 게재 문의는 팩스 02-398-3111, 전화 02-398-3000, 카톡 okjebo, 이메일 유족 연락처 필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