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강한 고용' 지속, 실업률 4.1→4.0%…금리인하 기대감 하락(종합2보)
기사 작성일 : 2025-02-08 01:00:57

미 매사추세츠주 소매점의 구인 간판


[EPA 자료사진]

(워싱턴·뉴욕= 박성민 이지헌 특파원 =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1월 들어서도 전반적으로 견조한 고용시장 여건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고용지표가 나왔다.

미 노동부는 1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4만3천명 증가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6만9천명)에 못 미치는 증가 폭이다.

다만, 작년 11∼12월 일자리 증가 폭이 종전보다 총 10만명 상향 조정된 점을 고려하면 1월 고용 상황은 오히려 전문가들 예상 수준보다 좋았다고도 해석될 수 있다.

미 노동부는 작년 11월 일자리 증가 폭을 21만2천명으로 종전보다 4만9천명, 12월 일자리 증가 폭을 30만7천명으로 종전보다 5만1천명 각각 상향 조정했다.

실업률은 4.0%로 낮아졌고, 전문가 예상치(4.1%)도 밑돌아 강한 고용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4.0%의 실업률 수준은 미 의회예산국(CBO)이 추산한 자연실업률(4.4%)보다 뚜렷이 낮은 수준으로, 미국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실업률 지표에 매년 1월 연례적으로 이뤄지는 인구 추산치 재평가 요인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미 노동통계국은 가계 설문조사를 통해 실업률 지표를 추산하는데, 실업률의 모수인 경제활동인구 추산치가 연례 인구 추산치 조정으로 상향된 게 실업률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가계 설문조사상 실업자 수는 1월 685만명으로 전월(689만명) 대비 큰 변동이 없었다.

실업률 통계의 기반이 되는 가계조사는 비농업 취업자 수를 파악하는 기업조사와는 별도로 시행되며, 조사방식이나 표본의 차이로 인해 두 지표가 괴리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한편 지난 1월 미 전역을 강타한 강추위와 캘리포니아 산불 사태는 1월 미 전국 고용지표에 인지할 만한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고 미 노동부는 설명했다.

금융시장은 이날 고용지표가 강한 노동시장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고용지표 발표 직후 4.5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6bp(1bp=0.01%포인트) 올랐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4.26%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5bp(0.01%포인트) 상승했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3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전날 84%에서 고용지표 발표 직후 92%로 상향 반영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 정체와 강한 경제 상황을 고려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힌 가운데 연준이 추가 금리인하에 더욱 신중해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에 힘이 실린 것으로 풀이된다.

백악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오늘 발표된 일자리 보고서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경제가 사람들이 생각한 것보다 훨씬 나빴음을 보여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친성장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몇 주 동안 미국의 에너지 패권 회복을 위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했고, 새로운 규제가 나올 때마다 기존 규제 10개를 줄이겠다고 약속했으며, 열심히 일하는 미국인을 위해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감세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망가진 경제를 회복하고 중소기업의 낙관론을 되살리며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의 새로운 황금기 열겠다는 약속을 이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