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언론 "이시바, 트럼프 환심 사려 '아부의 예술' 구사"
기사 작성일 : 2025-02-08 18:00:57

신재우 기자 = 미일정상회담이 7일(현지시간)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마무리된 가운데 미국 언론들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환심을 사려 '아부의 예술'을 펼쳤다고 분석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이시바 총리가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아부를 시도했다고 평가했다.

WP는 "이시바 총리는 최선을 다해 트럼프 대통령을 칭찬하고 아부를 통해 웃음을 유발했다"면서 "그는 긴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세 관련 질문을 철저히 차단했다"고 보도했다.

WP는 "이시바 총리는 트럼프에게 아첨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면서도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해 미국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수입하겠다고 맹세했고 자신을 트럼프 대통령이 좋아하는 미국 수출품의 열렬한 고객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일본이 미국에서 더 많은 상품을 구매하는 조치를 하지 않으면 미국 관세에 직면할 수 있다는 '위협'을 했으나 일본을 직접적으로 비난하지는 않았다.

뉴욕타임스(NYT)도 이시바 총리가 거래적이고 예측불가능한 외교로 유명한 트럼프 대통령에 '넘치는 칭찬'을 한 외교 사절 대열에 합류했다고 보도했다.

NYT는 이시바 총리가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발언 기회를 가졌지만 저항보다는 아부를 택했다고 분석했다.

이시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만남이 어땠는지에 대한 질문에 "텔레비전에서 보던 유명인을 보게 되어 너무 신이 났다"며 "그는 텔레비전에서는 무섭고 매우 강한 성격이었지만 실제로 만나보니 매우 진지하고 매우 강력했으며, 미국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때 입이 귀에 걸리게 미소를 지었다고 전했다.


NYT는 "외국 지도자들이 트럼프에 구애하기 위해 '아부의 예술'을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이스라엘이 백악관에서 가진 가장 위대한 친구'라고 부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미국인 범죄자를 자국에서 수감하겠다는 파격적 제안을 내놓은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을 예로 들었다.

NYT는 앞서 트럼프 1기 때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을 사려는 행보를 보였다고 전했다.

다만, 이런 전략이 항상 효과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에는 관세를 부과했고 프랑스와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운영 방향을 놓고 공개적으로 불화를 겪었다고 보도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