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북러조약 우려하나 놀랍지 않아…미군태세 평가·동맹강화"(종합2보)
기사 작성일 : 2024-06-21 05:00:56

미 백악관 존 커비 국가안보소통보좌관


[ 자료사진]

(워싱턴= 조준형 특파원 = 미국 정부는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동맹 관계 복원에 준하는 조약을 체결한 데 대해 "우려"를 표하고, 필요에 따라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미군 대응 태세를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20일(현지시간) 온라인 브리핑에서 "이 합의(북러조약)는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의 평화·안보를 중시하는 모든 나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는 준수해야 한다고 믿는 모든 나라, 우크라이나 국민 지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모든 사람들에 우려 사항"이라며 "그 우려는 중국과도 공유될 것"이라고 말했다.

커비 보좌관은 "우리는 필요에 따라 인도·태평양 전역에서의 우리의 (방위) 태세를 평가할 것"이라며 한반도 등에서 위협과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최선의 입지를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북한과 러시아의 위협이 고조될 경우 인태 지역에 대한 군사력 투입을 증강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커비 보좌관은 이어 "이번 합의는 러시아의 절박함을 보여준다"며 "우리는 분명히 우리의 강력하고 거대한 동맹 및 파트너 네트워크를 강화할 기회를 계속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와 동시에 커비 보좌관은 이번 북러 조약 체결에 대해 "놀랍지 않다"며 "우리는 수개월간 북러간의 증대되는 군사협력 관계에 대해 논의 및 경고해왔고 정보를 공개적으로 공유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는 분명히 우리가 심각하게 받아들여 온 것"이라며 한미일 협력 강화 등 그간의 대응 내용들을 소개했다.


팻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


[AP 자료사진]

팻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리는 (북러 간의 향후 움직임에 대해) 계속 주시하고,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우리의 초점은 평화와 안보, 안정에 있다는 인식 하에 계속 동맹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라이더 대변인은 한미동맹과 북러관계의 차이에 대해 질문받자 "한국·일본과의 동맹은 방어적 동맹"이라며 "우리는 그곳에 방어를 위해 있는 것이며 우리의 초점은 지역내 입장을 같이하는 파트너들과 공조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라이더 대변인은 또 "우리는 동맹국인 한국에 대한 지지를 분명히 밝혀왔다"며 "동맹국 한국에 대한 우리의 지원은 철통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탄약을 얻기 위해 북한과 같은 나라에 가야 한다는 사실은 러시아가 지금 얼마나 고립돼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 19일 평양에서 양국 정상이 서명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을 통해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처하면 '집단적 자위권'을 명기한 유엔헌장 제51조와 양국 국내법에 따라 상대에게 지체 없이 군사적 원조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커비 보좌관은 다른 나라들에 공급 예정이던 수백발의 대공 방어용 패트리엇 미사일과 나삼스(NASAMS) 지대공 미사일을 우크라이나로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러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 조인식


[평양 조선중앙통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