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원 아니네"…인플레에 두 손 든 '무조건 1천원' 빵집
기사 작성일 : 2024-06-24 08:00:16

가격 인상 '1천원 빵집'


[촬영 전재훈]

전재훈 기자 = "1천원짜리 하나 팔아 200∼300원 남겼는데 공장에서 가격을 올려버리니 별수 없지."

이는 지난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한 역사에 위치한 이른바 '무조건 1천원 빵집' 직원 손모(70)씨가 빵 매대 옆으로 떡을 진열하면서 한 말이다. 이 빵집에 걸려있던 '무조건 1천원' 현수막 문구는 지난달 '무조건 1천300원'으로 바뀌었다.

이 빵집 주인은 가격이 오른 빵들 옆으로 오징어포나 젤리, 떡을 진열해 팔기 시작했다. 손씨는 "빵 가격이 오른 뒤로 300g에 1만원인 오징어포, 세 팩에 4천원인 떡이 잘 팔린다"고 전했다.


1천100원에 판매 중인 빵들


[촬영 전재훈]

고속버스터미널역 1천원 빵집도 지난달에 빵 가격을 200원 올렸다. 이곳 역시 매대의 70%를 오징어·아귀 포와 젤리, 과자 등으로 채웠다.

이처럼 무조건 1천원 빵집이 빵 가격을 올린 것은 밀가루 가격은 내렸지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여파로 운송·인건비 등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24일 유통·식품업계에 따르면 밀가루는 지난 3∼4월 제분업체 4사가 평균 3.2∼6.5% 정도 가격을 내리면서 안정세를 찾았다.

1천원 빵집 사업 제조·유통업에 종사하고 있는 한 업계 관계자는 "빵 원료 가격은 안정을 찾고 있어 가격 인상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며 "운송 비용, 판매점 임대료, 인건비 등 원료 외 비용 부담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빵집에 들어오는 빵 가격은 1개당 평균 500∼600원 정도에서 650∼800원 수준으로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빵 가격 올린 '1천원 빵집'


[촬영 전재훈]

1천원 빵집 간판에 100원에서 300원까지 추가 요금이 붙자 점주들은 매출 감소에 울상이다.

강남구 한 역사 종업원 손씨는 가격을 올리기 전만 해도 손님이 건네는 1천원짜리 지폐를 받아내느라 오전 내내 앉을 시간도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가격 인상 이후 손님이 3분의 1로 줄었고 약 100만원이던 하루 매출도 많아야 60만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고 손씨는 설명했다.

실제 오전 8시가 가까워지자 역사는 출근 인파로 가득했지만, 빵을 구매하는 사람은커녕 구경하는 사람도 드물었다.

고속터미널역 빵집도 300만~400만원이던 하루 매출이 200만원 수준으로 줄었다고 한다. 약 40분 동안 20여명의 손님이 매장을 찾았지만, 빵을 구매하는 손님은 3명에 그쳤다. 빵집 지점장 김모(44)씨는 "200원 인상 이후 발길을 끊은 단골이 많다"고 했다.

손님들 사이에서도 아쉽다는 반응이 나온다.

일주일에 4∼5차례 1천원 빵집을 이용했다는 류모(30)씨는 "한 번 이용할 때 5천원어치 정도를 샀는데, 이젠 같은 양을 사면 6천∼7천원 정도를 내게 돼 부담스러워진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대학생 정모씨는 "질이 나쁘지 않은 1천원짜리 빵을 구매할 수 있었던 마지막 시대라는 생각이 든다"고 아쉬워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