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재무장관 "환율 과도한 변동·무질서한 움직임에 적절조치"
기사 작성일 : 2024-06-25 17:00:17

자리로 향하는 한-일 재무장관


최재구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에서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기념사진을 찍고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24.6.25

(세종·서울= 이준서 송정은 기자 = 한일 재무장관이 과도한 통화가치 하락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면서 적절한 조치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양국 경제수장의 공동메시지는 지난 4월 미국 워싱턴 D.C. 면담 이후로 2개월여 만이다.

글로벌 강달러 탓에 엔화와 원화가 동반 약세를 거듭하자, 또다시 구두개입성 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과 '제9차 한일 재무장관회의'를 하고 이런 내용의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한일 재무장관회의는 지난해 6월 일본에서 개최된 이후로 1년 만이다. 우리나라에서 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8년 만이다.

양국 장관은 공동 보도문에서 지정학적 갈등, 주요 교역파트너의 성장 둔화, 외환시장 변동성을 하방 리스크로 꼽으면서 "특히 양국 통화의 급격한 가치하락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경계감을 갖고 민첩하게 정책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환율의 과도한 변동성과 무질서한 움직임에 적절한 조치를 계속 취해나갈 것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일본 측은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외환시장 구조개선 등에 대해서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WGBI 편입 비중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일본의 지원이 '우군'이 될 것이라는 게 우리 정부의 판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통의 정책 이슈들도 테이블에 올랐다.

양국 장관은 한국 증시의 가치를 높이는 '밸류업' 정책, 일본의 가계 금융자산을 금융투자상품으로 이전하는 '자산운용입국' 계획 등이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저출산 대응책, 일본의 아동미래전략을 공유하면서 "저출생은 공통의 구조적 도전과제로서 최적의 해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정책경험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기로 했다"고도 언급했다.

최상목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도 "한일은 공통 문제를 해결하는 공동 대응 파트너"라며 "주요 20개국(G20) 등 다자무대뿐 아니라 한일 및 한일중 재무장관회의 등 다양한 무대에서 양국 신뢰를 토대로 협력해 국제사회 주요 이슈 해결에 기여하자"고 말했다.

한편, 스즈키 재무상은 모두발언에서 경기 화성의 리튬 일차전지 생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를 언급하면서 유족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희생자들의 명복을 기원했다.

차기 '제10차 한일 재무장관회의'는 내년 일본에서 열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