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화재참사 재발 막자"…전국 '배터리공장' 긴급점검
기사 작성일 : 2024-06-25 17:01:16

화성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 합동 감식


(화성= 홍기원 기자 = 25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토안전연구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관리공단 등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4.6.25 [공동취재]

(전국종합= 경기도 화성시 리튬 배터리 제조공장 화재 참사와 관련해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내 배터리 제조업체의 화재 안전점검에 신속하게 나서며 유사 화재 예방책을 강화하고 있따.

우선 부산시는 25일 이준승 행정부시장 주재로 화재·폭발 대비 회의를 열고 일차전지·축전지 제조업체 37곳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설 58곳 등을 우선 점검키로 했다.

시는 민간 전문가와 공동 점검에서 재난 취약시설이나 관리상 결함이 발견되면 즉시 시정조치 할 방침이다.

광주광역시도 이번 참사와 관련해 시내 유사시설 28곳의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한다.

시는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의 안전사항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경보·소화설비 등 소방시설 관리와 초기 대응체계, 공장 내부 비상탈출로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대피 요령과 화재 안전수칙 등도 교육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일터와 삶터에서 더 이상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시 한번 살피고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도내 이차전지 관련 시설 74곳을 대상으로 이날 긴급 안전점검에 착수했으면 오는 28일까지 점검을 이어간다.

경북에서는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이차전지 관련 업체가 증가하는 추세다.

도는 소방본부와 화재 발생에 대비해 소방 장비를 점검·정비하고 합동 소방훈련을 할 계획이다.


화성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 합동 감식


(화성= 홍기원 기자 = 25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토안전연구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관리공단 등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2024.6.25 [공동취재]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등 포항지역 이차전지 기업들도 자체적으로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포항지역 이차전지 업체는 소재를 만드는 곳이어서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꾸준히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학수 포항북부소방서장은 "관련 업체 및 유관기관과 함께 화재 예방 시스템을 지속해 연구하고 더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충북소방본부 또한 이날부터 2주 동안 에코프로비엠 등 도내 이차전지 관련 업체 18곳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진행한다.

소방 당국은 전기·가스안전공사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소방설비·위험물안전관리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외국인 근로자 소방안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충북도는 LG에너지솔루션·에코프로비엠을 비롯해 이차전지 관련 기업 40곳의 생산시설과 연구·개발시설이 밀집한 청주시 오창읍 일대를 대상으로 화재 안전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북도 역시 오는 7월 9일까지 도내 이차전지 업체 32곳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한다. 이 중 대규모 사업장인 3곳에 대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환경부, 소방청 등과 합동 조사도 병행한다.

지난 24일 경기 화성시 아리셀 일차전지 공장에서는 큰 불이 나 작업자 22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다. 또 8명이 다쳐 치료를 받았다.

불이 난 화성 공장은 리튬 배터리 일차전지를 제조하는 곳이다.

일차전지는 이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화재 위험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나, 리튬 자체가 반응성이 큰 금속이어서 고온에 노출되거나 수증기와 접촉하면 폭발해 이번과 같은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소방 당국은 보관 중이던 배터리 셀을 검수·포장하는 과정에서 불이 시작돼 연쇄 폭발로 화재가 급격히 확대된 것으로 보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신민재 조정호 손상원 임채두 이덕기 천경환 기자)

유튜브로 보기



https:https://youtu.be/_QGMVIt3eu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