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공사 참사에 민심 폭발…세르비아 들불 시위에 정권 흔들
기사 작성일 : 2025-02-02 22:00:57

노비사드 참사 희생자 추모 시위


(세르비아 노비사드 AP= 2025년 2월 1일 세르비아 노비사드에서 3개월 전 발생한 이 도시 기차역 지붕 붕괴사고로 숨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다. (AP Photo/Darko Vojinovic) 2025.2.2.

부실공사로 인한 참사를 계기로 정권의 부패를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가 이어지면서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이 심한 압박을 받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일(현지시간) 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시위 참가자 수만명이 이날 세르비아 북부에 있는 제2의 도시 노비사드로 집결해 이 도시의 다리 3개를 점거해 3개월 전 참사로 숨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위를 벌였다.

시위를 주도한 학생들 중 수백명은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80㎞ 거리를 이틀간 걸어서 시위 전날 노비사드에 도착했으며, 밤에 전야제로 침묵시위를 벌였다.

지난해 11월 1일 노비사드에서는 기차역 지붕이 붕괴하면서 15명이 사망하고 2명이 사지를 절단해야 하는 중상을 입었다.


세르비아 노비사드 역 붕괴 사고


(세르비아 노비사드 EPA= 2024년 11월 1일 세르비아 노비사드 역 붕괴 사고 현장에서 응급대응반이 잔해를 치우고 있다. 2025.2.2.

이 역은 1964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2021년부터 2024년 7월까지 중국 국영기업 컨소시엄이 보수 작업을 했으나, 공사 4개월만에 무너졌다.

부치치 대통령은 이 역의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이던 2022년에 총선을 앞두고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를 초청한 가운데 명목상 '재개통' 행사를 열기도 했다.

이 참사의 근본 원인으로는 정부의 무능과 뇌물이 지목된다.

세르비아 검찰은 유명 인권변호사 체도미르 스토이코비치가 참사를 일으킨 노비사드 역 부실공사 의혹에 대한 고발장을 내자 이를 근거로 수사에 착수해, 이번 사고로 물러난 고란 베시치 전 건설교통인프라부 장관을 포함해 13명을 기소했다.


추모시위 전야제


(세르비아 노비사드 AFP= 세르비아 노비사드 역 붕괴 참사 3개월을 맞는 2025년 2월 1일에 대규모 시위가 예정된 가운데, 그 전날인 1월 31일 밤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노비사드까지 걸어온 시위 참가자들이 15분간 벌인 침묵시위의 항공사진. (Photo by Nenad MIHAJLOVIC) 2025.2.2.

밀로시 부체비치 총리는 지난달 28일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 이런 '꼬리자르기'로는 세르비아 국민들과 시위대의 분노를 잠재우지 못했다.

스토이코비치 변호사는 공사 계약에 투명성이 없었고 공개입찰 절차도 거치지 않았다며 "사고가 일어나자 정부는 전면 은폐를 시도했다"고 가디언에 말했다.

그는 시위를 주도해온 학생들에 대한 공감과 연대감이 국민들 사이에 퍼져나가고 있으며 교수, 농부 등 각계각층이 이들을 지지하며 거리로 나서고 있다면서 "국민들은 정부와 부치치가 드디어 물러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정부 규탄 시위는 지난주에 세르비아 전국의 100여개 소도시와 마을로도 번졌으며, 법관들까지 시위 행렬에 가세했다.

미국 CNN은 농부들이 트랙터를 몰고 참여하는 등 세르비아의 각계각층이 참여한 이번 시위에서 2000년 퇴진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독재정권의 말기를 연상케 하는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부치치는 그가 당대표로 있던 세르비아진보당(SNS)이 연립정부에서 최대 지분을 확보하면서 2012년 제1부총리 겸 국방장관으로 입각하고 실권을 쥐었다.

이어 2014년 총선을 계기로 연립정부 총리직을 거머쥐고 공식적으로 권좌에 올랐으며, 2017년과 2022년 대통령으로 연속 당선되면서 권위주의적 통치를 이어가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