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
기사 작성일 : 2025-02-13 08:00:32

■ 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통화…우크라종전협상 즉각 시작 합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협상 중재 노력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등 우크라이나 전쟁 당사국 정상들과 연달아 통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이뤄진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했고, 이어 이어진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도 "평화를 이루길 원한다"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언을 끌어냈다.


트럼프 대통령 - 푸틴 대통령 통화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3003854071

■ 오늘 헌재 尹탄핵심판 국정원장 등 증언…변론 끝날지 주목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예정된 마지막 변론이 13일 열린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오전 10시 대심판정에서 8차 변론을 열고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의 증인신문을 진행한다. 헌재는 아직 8차 변론 이후 추가 기일을 지정하지 않아 이날 변론이 종결될지 관심이 쏠린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2152400004

■ 트럼프, 1기 북미정상회담 관여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에 지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임기 때 백악관에서 대북 협상 업무를 담당했던 앨리슨 후커 전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 국무부 정무차관에 지명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의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상원에 후커 보좌관을 정무차관에 지명한다고 통보했다. 정무차관은 국무부의 지역과 양자 정책 현안 전반을 관장하는 역할을 하며, 한국 업무를 담당하는 동아시아태평양국을 비롯한 지역별 정책국이 정무차관 관할이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3010351071

■ 금값 폭등에 웃지 못하는 한은…"중장기적 고려" 입장 유지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와중에도 한국은행은 금을 사들이는 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가파르게 오른 금값에 기회 수익을 아쉬워하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안전성, 유동성, 수익성을 추구하는 외환보유액 운용 기조 아래 금 매입을 서두르지 않는 분위기다. 13일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한은은 김중수 전 총재 시절이던 지난 2013년 20t의 금을 추가로 사들인 뒤 12년째 금 보유량을 총 104.4t으로 묶어왔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2149800002

■ 지방 미분양 줄여 침체 막는다…정부, 19일 건설 안정 대책 발표

정부가 다음 주 지방 미분양 해소 방안을 비롯한 건설경기를 살리는 보완대책을 발표한다.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금융·세제를 추가 지원하고, 지방에는 오는 7월부터 시행될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적용을 유예 또는 완화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확대, 책임준공과 공사비 정상화 방안 등 건설경기 회복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망라될 전망이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2167100003

■ 맛김 22%·김치 18%↑…가공식품 물가상승률 1년 만에 최고

식품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면서 가공식품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원재료 가격이 오르고 환율이 고공행진을 하며 물가 상승 압력이 더 커지고 있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122.03(2020년=100)으로 작년 동월보다 2.7% 상승했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2155500002

■ 국회, 이틀째 대정부질문…'계엄 여파' 경제 상황 질의

국회는 13일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을 한다. 전날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에 이은 이틀째 일정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민생·경제 세법안 처리의 시급성을 강조하면서 부처별 민생 대책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2171600001

■ 찬반 양쪽서 항의전화…인권위 상담센터도 '尹방어권' 후폭풍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인권상담조정센터 직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통과의 후폭풍을 겪고 있다. 인권상담조정센터는 인권위에 접수되는 진정 등을 접수하는 곳으로 전담 직원 12명이 일과 시간 내내 상담번호 '1331'로 걸려 온 전화를 받고 응대한다. 13일 인권위에 따르면 윤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이 상정된 이후 상담센터는 민원인들의 항의가 폭주하며 업무가 마비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2147900004

■ 美 연준 인사들 1월 물가 '깜짝 상승'에 "정신 번쩍 드는 지표"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들어 예상 밖으로 상승한 것과 관련해 12일(현지시간)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이 잇따라 우려를 표했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1월 소비자물가 지표에 대해 "정신이 번쩍 들게 한다(sobering)"라고 평가했다. 굴스비 총재는 이날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이 같은 수준의 결과가 몇 달간 이어진다면 연준의 임무가 아직 완수되지 않았다는 점에 의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3008900072

■ 서울대도 딥시크 접속 차단…"개인정보 안전성 확인 안돼"

서울대가 중국산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 접속을 잠정 차단하기로 했다. 13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 대학 정보화본부는 이날 오전 9시부터 학내 유선 인터넷 프로토콜(IP) 이용자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다. 본부는 "정부 방침에 따라 개인정보보호 등 안전성 확인 시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우선 차단하고자 한다"며 "다만 학술연구나 교육을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신청받아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문보기: https:/view/AKR202502121733000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