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장들과 간담회하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김인철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2.19
임수정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체제 아래 최근의 부당대출 사고 등 논란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은행 내 현실적으로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종룡 회장이 갑자기 빠지게 되면 거버넌스 관련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임 회장이 (사태를) 정리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기회 될 때마다 사석에서 많이 밝혀왔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우리금융지주·은행 등의 검사 결과를 밝히면서 임 회장 취임 시기 이후에도 상당 규모 부당 대출이 발생했음을 별도 명시하는 등 '현 경영진 책임론'을 부각해왔다.
이에 이 원장이 임 회장 사퇴를 포함한 거취 정리를 요구하고 있다는 관측이 계속됐는데, 이에 대해 선을 직접 그은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은행 본점
[ 자료사진]
다만 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 결과 도출은 이와 상관없이 엄정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금융 거버넌스가 유지된 채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당위와 (우리금융이)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라며 "경영실태평가 도출 및 그 이후 이어질 자회사 편입 문제 등은 원칙대로 엄정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이 진행 중인 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3등급 이하로 나올 경우 우리금융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동양·ABL생명 인수·합병(M&A)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그는 금감원이 도출하는 등급을 반영해 금융위에서 인수 여부를 최종 결론 낸다는 점을 전제하면서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설령 좋게 나온다고 해도 현재 수준의 거버넌스나 관리 역량에서 이렇게 외연을 확장해도 되는지 통철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고, 결과가 나쁘게 나온다면 더더욱 (외연 확장은) 어쩔 수 없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거꾸로 회장님이나 행장님 입장에서 보면 본인들이 직을 걸고 체질 개선 및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되묻기도 했다.
대형 금융사고가 되풀이되는 원인으로는 내부통제 부실과 함께 금융권 내 온정주의 문화를 꼽았다.
최근 대규모 부당대출 사고를 낸 기업은행[024110]에도 "이번 사건 역시 결국 '끼리끼리 문화'라든가 온정주의 문화, 외연 확장주의에서 비롯됐다"며 "매우 심각해서 저희가 엄하게 보고 있고 큰 책임을 물으려고 생각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최근의 은행권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 논란 등에 아쉬움을 표한 것과 관련해서는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임기 논란 등 특정 사안을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그는 다만 이와 관련해서 "언론이나 국민들이 보시기에 '셀프 연임'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지점들이나 '왜 불가피한 것인지' 등과 관련한 논의가 주주나 소비자들에게 공유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근 시중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하지 않고 가산금리를 높게 유지 중이라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작년 10월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하 흐름이 올해 1분기부터는 어느 정도 효과를 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당국 내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다는 공감대로 형성돼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을 또 결정할 텐데 물가나 환율, 내수, 국내총생산(GDP) 성장과 관련한 추이를 볼 때 조금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다는 당국 내 공감대, 또 사회적인 공감대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런 완화적 통화 정책 환경으로도 소비자들이 곧 금리 인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란 취지다.
주가연계증권(ELS) 등 고위험 상품 판매 관련 대책은 이달 말께 금융위와 함께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애플페이 확장으로 삼성페이에서도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과 관련해서는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추가적인 수수료 부담들이 소비자나 가맹점에 피해를 줄 정도가 아닌 카드사가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은행장들은 지방 자금공급을 위해 추가 대출 한도를 부여하고 저신용자 대출 상품의 경우 가계대출 관리 대상에서 제외해달라는 건의 사항 등을 전달했다.
이 원장은 "지방 부동산이나 지역 건설사 어려움과 관련해 수요 사이드에서 어떻게 조금 여유를 드릴 수 있는지, 공급 측면에서는 어떻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을 정상화할 수 있을지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