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GPS 전파교란, 2만원대 장비로 차단?…인천서 성능실험
기사 작성일 : 2024-06-19 10:01:10

GPS 전파교란 방지장치가 선박 안테나를 감싼 모습


[인천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천= 신민재 기자 = 인천시가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으로부터 우리 어선의 피해를 막기 위한 장치를 고안해 실증에 나섰다.

인천시는 학계 자문을 받아 자체 제작한 GPS 전파교란 방지장치를 시 어업지도선 '인천 201호'에 장착해 성능실험에 들어갔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북한이 발사하는 교란전파가 빛처럼 수평 방향으로 직진하는 탓에 섬을 비롯한 장애물에 가로막히면 효과가 없는 점에 착안해 교란 방지장치를 고안했다.

이 장치는 알루미늄 테이프로 만든 보호막을 선박의 GPS 수신용 안테나에 씌우는 방식이다. 비용은 선박 1척당 2만원 정도다.

인공위성이 발신하는 GPS 수직전파는 정상 수신되도록 윗면은 개방하고, 옆면과 하단은 알루미늄 테이프로 감싸서 교란전파를 차단하는 구조다.

GPS를 비롯한 위성항법시스템은 2만㎞ 상공을 비행하는 인공위성이 송신하는 전파가 지표면 부근에 도달할 때 휴대전화 전파의 100분의 1 정도로 강도가 약해진다.

이 때문에 강한 출력으로 방해전파를 발사하면 GPS 기기에 잘못된 위치정보가 제공된다.

북한은 서해 5도와 가까운 지점에서 교란전파를 발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영향으로 조업 중인 우리 어선의 GPS에 실제 위치에서 수십㎞ 떨어진 지역으로 표시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북한의 GPS 전파교란 대응 요령으로 나침반·레이더·항로표지와 주변 지형지물을 활용해 운항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선박이 안개가 짙은 해역이나 야간 운항할 경우에는 GPS 교란으로 조난이나 월북 위험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북한은 지난달 29일부터 닷새 연속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남쪽을 향해 GPS 전파교란을 감행했다.

시는 이번에 고안한 전파교란 방지장치의 효과가 확인되면 이를 신속하게 공유해 어업인들이 활용하게 할 방침이다. 현재 인천에 등록된 어선 수는 총 1천497척이다.

오국현 인천시 수산과장은 "현재 국내 소형어선의 항법장치는 GPS에만 의존해 북한의 전파교란에 속수무책인 상황"이라며 "성능실험이 성공하면 쉽게 구할 수 있는 2만원대 재료로 전파교란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