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샷!] 극도로 예민하세요?…이젠 HSP 검사
기사 작성일 : 2025-02-01 06:00:29


['보그 코리아'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김유진 인턴기자 = 'MBTI'가 가고 'HSP'가 왔다.

혈액형에 이어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가 우리 사회를 휩쓴 가운데, 이제는 HSP(Highly Sensitive Person) 테스트가 주목받고 있다.

HSP는 2006년 미국의 심리학자 일레인 아론 박사가 제시한 개념으로, 직역하면 '매우 예민한 사람' 혹은 '매우 민감한 사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초민감자'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외부 자극의 미묘한 차이를 인식하고 자극적인 환경에 쉽게 압도당하는 민감한 신경 시스템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5~20%가 HSP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SP는 크게 ▲초감각 ▲초감정 ▲심미안의 세 가지 주요 특성을 가진다.

초감각은 작은 소리나 밝은 조명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고 특정 옷감의 질감에도 불편함 등을 느끼는 것이다.

초감정은 타인의 감정과 기분을 쉽게 감지하고 사회적 분위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뜻한다.

심미안은 자기 주관과 잣대가 강해서 미적 감각에 대해서도 확고한 취향을 가지는 경우다.

현재 온라인에는 HSP 테스트가 배포돼 있어 누구나 손쉽게 간이 HSP 검사를 해볼 수 있다.



[HSP 테스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HSP 테스트에는 '다른 사람들의 기분에 영향을 받는다', '밝은 빛, 강한 냄새, 사이렌 소리 같은 것에 의해 쉽게 피곤해진다', '깜짝깜짝 놀란다', '경쟁을 해야 한다거나 무슨 일을 할 때 누가 지켜보고 있으면 불안하거나 소심해져서 평소보다 훨씬 못한다' 등의 항목이 포함돼 있다. 해당하는 항목이 많을수록 HSP일 확률이 높아진다.

지난해 11월 유튜브 채널 '하말넘많'은 '저 사람은 왜 저럴까?'라는 제목의 HSP 관련 영상을 공개해 1일 현재 누적 조회수 110만 회를 넘어섰다.

영상에 출연한 '하말넘많'의 서솔은 "나는 청각이 정말 예민하다. 특히 원치 않는 소음 때문에 힘들었던 경우가 많았다"며 "어릴 때부터 밤에 자동차 소리가 들리면 잠을 이루지 못했고 현재도 내가 통제할 수 없는 TV 소리가 들리면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지만 내가 이렇게 예민하다는 걸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면 그들이 나의 예민함을 불편해할 것 같아서 잘 드러내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하말넘많'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자신의 행동이나 말이 타인의 기분과 생각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칠지까지 시시각각으로 우려하는 것도 HSP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본인의 예민함을 잘 드러내지 않아 주변인들은 HSP의 예민함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누리꾼은 HSP 특성에 공감하며 예민함으로 인해 겪어왔던 각자의 고충들을 털어놓기도 했다.

걸그룹 블랙핑크의 로제도 예민함을 관리하는 방법을 공개한 바 있다.

로제는 지난해 11월 '보그 코리아' 유튜브 채널에서 '스트레스볼'이라 불리는 제품을 소개하며 "불안해질 때나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이걸 만지면 집중이 되고 정신적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해당 제품이 해외 직구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또 SNS에서는 특정 이어플러그(귀마개)가 HSP 추천 아이템으로 떠오르고 있다. 불필요한 외부 소음을 차단해 감각적 피로도와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후기들이 달렸다.



[HSP 테스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전문가들은 HSP의 예민함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오히려 이를 잘 활용하면 장점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전홍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HSP의 예민함은 섬세함으로 바뀔 수 있다"며 "보통 사람과 다른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HSP는 예민한 특성으로 인해 타인과 의사소통할 때 지나치게 상대방의 눈치를 많이 보게 된다"며 "대화를 할 땐 다른 사람의 표정이나 말투에 압도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예민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집에서는 긴장을 풀고 완전히 쉬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또한 강아지와 산책하기, 운동하기 등과 같이 자신이 편안함을 느끼고 긴장에서 해방해줄 '안전기지'를 만드는 것 역시 효과적인 해결책"이라고 덧붙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