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특수본, 군경 체포조·중간간부 수사 속도…재판준비
기사 작성일 : 2025-02-02 17:00:29


[ 자료사진]

김다혜 기자 =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검찰이 기소한 군·경찰 지휘부 재판에 대응하면서 남아있는 관련 의혹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주말인 2일 대부분 출근해 사건 기록을 검토하고 관련자들을 조사했다.

내란 혐의 정점으로 지목된 윤석열 대통령을 지난달 26일 기소한 후에도 중요임무 종사자와 부화수행자에 대한 추가 수사가 이어져 왔다.

지난달 31일에는 국방부 조사본부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국군방첩사령부의 정치인 등 주요 인사 체포조 편성·운영에 가담한 의혹과 관련해 국수본 안보수사국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윤승영 수사기획조정관·전창훈 수사기획담당관·이현일 수사기획계장의 사무실과 주거지 등에서 압수한 자료를 분석 중이다.

특수본은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등 경찰 수뇌부를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기소한 데 이어 윤 조정관 등도 피의자로 전환해 수사 범위를 넓혔다.

방첩사 정성우 1처장, 김대우 수사단장도 내란 혐의 피의자로 입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처장은 육군 준장 진급예정자, 김 단장은 해군 준장이다.

이밖에 군경의 국회 봉쇄와 계엄 해제 의결 방해 시도, 선관위 서버 반출 및 주요 직원 체포 시도 의혹과 관련해 기소 대상이 있는지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 선포 전 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에게 내란 또는 내란 방조 책임이 있는지도 수사 중이다.

검찰과 군검찰이 꾸린 특수본도 수사에 맞춰 당분간 더 운영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법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리는 재판의 공소 유지도 특수본 검사와 군검사가 각각 맡고 있다.

6일에는 중앙지법에서 조 청장, 김 전 청장,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군 전 대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공판준비기일이 열린다.

검찰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증인신문 조서를 재판에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구속 상태인 김 전 장관은 2일 변호인단을 통해 공개한 자필 편지에서 "부정선거는 대한민국의 근간을 뿌리째 흔드는 반역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60여명의 애국 전사께서 구속돼 계신다. 어쩌다 과격한 행동으로 어려움에 처해 계시지만 그분들의 애국 충정은 오래오래 기억될 것"이라고도 했다. 서울서부지법 폭력 난동 사태로 구속된 이들을 '애국 전사'라고 치켜세운 것으로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