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트럼프 관세 충격에 2.5% 하락 마감
김인철 기자 = 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현황판에 코스피 등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3.42포인트(2.52%) 내린 2,453.95에, 코스닥은 24.49포인트(3.36%) 내린 703.80에 장을 마감했다. 2025.2.3
곽윤아 기자 = 코스피가 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본격화하자 2.5% 넘게 급락해 2,450대로 밀려났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장보다 63.42포인트(2.52%) 내린 2,453.95로 장을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 대비 48.63포인트(1.93%) 내린 2,468.74로 출발해 하락 폭을 빠르게 키웠고, 장중 3.17% 밀려 2,437.61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오후 3시 55분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천692억원, 3천730억원 순매도를 기록, 지수 하락세를 견인했다. 개인은 1조1천262억원 순매수했다.
코스피200선물 시장에서도 외국인은 4천529억원 순매도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4.5원 급등한 1,467.2원을 나타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오는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유럽연합(EU)에도 조만간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자 금융 시장이 요동쳤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온건할 것이라는 예상이 어긋나자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멕시코에 생산 거점을 둔 기아[000270](-5.78%), 현대모비스[012330](-2.47%), LG전자[066570](-7.13%) 등이 크게 하락했고, 캐나다에 진출한 LG에너지솔루션[373220](-4.4%), 포스코퓨처엠[003670](-9.66%) 등 이차전지 기업들도 큰 폭으로 내렸다.
삼성전자[005930](-2.67%), SK하이닉스[000660](-4.17%) 등 반도체주도 '딥시크' 충격 여진이 남아있는 가운데 향후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더해지자 약세를 보였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의 협업 소식이 전해진 카카오[035720]는 9% 급등했고, 딥시크 수혜주로 분류되는 NAVER[035420](0.23%), 삼성에스디에스[018260](1.66%)도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음식료·담배(0.59%), 보험(0.18%), 정보기술(IT) 서비스(1.29%)를 제외하고 운송·창고(-3.72%), 기계·장비(-3.37%), 전기·전자(-3.63%) 등 대다수 업종이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4.49포인트(3.36%) 내린 703.80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트럼프 관세 충격에 2.5% 하락 마감
김인철 기자 = 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현황판에 코스피 등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3.42포인트(2.52%) 내린 2,453.95에, 코스닥은 24.49포인트(3.36%) 내린 703.80에 장을 마감했다. 2025.2.3
지수는 전장 대비 10.03포인트(1.38%) 내린 718.26으로 출발해 낙폭을 빠르게 키웠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억원, 1천908억원 순매도했고, 개인은 2천946억원 순매수했다.
캐나다에 생산 공장을 둔 에코프로비엠[247540]이 9.16% 급락했고, 에코프로[086520]도 6.23% 내렸다. 리가켐바이오[141080](-8.14%), 삼천당제약[000250](-7.17%), 리노공업[058470](-2.8%) 등 시가총액 상위 대다수 종목이 하락했고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3.34%), 파마리서치[214450](0.83%) 정도 올랐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상장 종목 중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전체의 83.9%에 달하는 2천226개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1조4천254억원, 7조3천427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