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신항 건설 본격화에 부산항만공사 명칭 변경 논란
기사 작성일 : 2025-02-09 10:00:02

부산항 신항과 진해신항 예상도


[ 자료]

(부산= 김상현 기자 = 올해부터 부산항 진해신항 건설 공사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부산항 관리·운영 주체인 부산항만공사(BPA) 명칭과 의결 구조를 놓고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9일 부산항만공사와 경남도 등에 따르면 이종욱 국민의힘 의원(창원시 진해구)은 최근 부산항만공사 명칭과 항만위원 추천권 변경을 위한 항만공사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 의원은 부산항 신항의 항만과 배후지 등 관련 인프라 절반 이상이 경남에 위치하고, 진해신항 행정구역도 경남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만큼 부산항만공사 명칭을 '부산경남항만공사'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산항만공사 주요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항만위원 추천 권한도 현행 부산시 2명, 경남도 1명에서 두 시도가 똑같이 나눠 가져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부산항 제2 신항으로 기존 신항 옆에 건설하는 진해신항은 행정구역이 창원시 진해구에 속한다.

사업비 15조1천억원을 들여 2030년까지 1단계 9개 선석을 개장하고 2040년까지 21개 선석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 의원과 경남도 측은 "진해신항이 1단계 개장하는 2030년이면 부산항 신항 내 부두 선석은 경남이 51%로 부산보다 높아지고 2040년에는 61%가 경남에 속하는 만큼 항만공사 명칭과 의결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컨테이너 가득 쌓인 부산항 신항 부두


[ 자료]

이에 대해 부산지역 시민단체와 항만단체 등에서는 "350만 부산시민 힘으로 설립한 BPA(부산항만공사) 명칭은 단순한 지역명이 아니라 세계 브랜드"라며 경남도 측의 명칭 변경 주장에 반대하고 있다.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부산항발전협의회, 해양자치권추진협의회,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부산시민단체협의회는 최근 성명을 내고 "부산항만공사 명칭 변경은 부산시민 동의, 법 개정, 항만관리 이원화, 국제적 인지도, 브랜드 가치,국제적 명칭 등을 고려할 때 혼란만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항만공사법과 항만법, 항만법 시행령 등을 보면 부산항만공사는 부산항(북항, 신항, 감천항, 다대포항, 진해신항으로 구분)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며 "진해신항은 북항, 감천항, 다대포항, 신항과 마찬가지로 무역항인 부산항의 하위 항만 명칭일 뿐"이라고 반발했다.

특히 "2006년 부산항 신항만 개장 당시 정부는 신항만은 부산항 항계 내 하위 항만이며, 별도의 새로운 무역항 지위 부여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힌 만큼 명칭 변경 논란은 무의미하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금 중요한 것은 치열한 세계 항만 경쟁을 극복하기 위한 부산·경남의 협력"이라며 "명칭 변경 등 논의는 국가 이익과 부산·경남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