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속 트럼프 '물가 시험대'…커지는 인플레 우려
기사 작성일 : 2025-02-13 12:01:0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자료사진]

차병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당시 취임 첫날부터 물가를 잡겠다고 공약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자 발언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8월 "내가 이기면 첫날부터 즉시 물가를 낮출 것"이라면서 원유 생산을 늘려 물가를 잡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원유 증산 및 규제 철폐 등을 통해 비용을 낮추고, 초과근무에 대한 세금 면제 등을 통해 노동 공급을 늘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정부 출범 후 식료품 물가 등이 조만간 내려갈 가능성을 낮게 보기 시작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감세 공약이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에 이어 다음 달 철강·알루미늄 25% 관세도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상호 관세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연이은 관세 부과로 수입품 가격이 오르면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인터뷰에서 언제 생활물가가 잡힐지 묻는 말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미국을 부유한 국가로 만들고 소득을 늘려 소비자 부담을 줄이는 것이 자신의 정책이라고 답했다고 NYT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부유해질 것이다. 지금은 그렇지 않다"면서 "부채가 36조 달러(약 5경2천조원)에 이르는데 이는 모든 나라가 우리를 이용해 먹게 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주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생활비 부담 완화를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하고 있다면서도 언제 가능할지 묻는 말에 "시간표는 없다"고 했다.

JD 밴스 부통령은 인터뷰에서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면서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뤄진 게 아니다"고 기대치를 낮추기도 했다.



[ 자료사진]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처음 발표된 소비자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여파로 계란 가격이 전월 대비 15.2% 오르면서 물가 상승을 부채질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53%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CPI 발표 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바이든 인플레이션 상승"(BIDEN INFLATION UP)이라고 주장했다.

레빗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1월 CPI에 대해 "모두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나쁘다"라면서 "전임 정부가 미국 경제가 진짜 어디에 있었는지에 대해 투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국인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미시간대가 7일 발표한 2월 소비자심리 설문조사에서 1년 뒤 기대 인플레이션이 4.3%로 전월보다 1.0%포인트 올랐다.

CBS의 최근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6%가 트럼프 대통령이 물가를 낮추기 위해 충분한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준금리 인하 압박도 재개했다.

취임 직후 '즉각적' 금리 인하를 주장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겨냥해 이날 "금리를 내려야 한다"면서 "이는 다가올 관세와 함께 진행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