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헌재 선고 임박에 "尹방어권 보장"…내부선 대선준비 요구도(종합)
기사 작성일 : 2025-02-14 18:00:05

원내대책회의 주재하는 권성동 원내대표


김주형 기자 =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운데)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2.14

최평천 김정진 기자 = 국민의힘은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자 헌법재판소를 향해 윤 대통령의 방어권을 충분히 보장하라며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변론 일정을 고려할 때 선고가 다음달 초·중순 내려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헌재를 향해 '속도 조절'을 강력히 요구하는 한편, 공식적으로는 함구하고 있지만 내부에서는 조기 대선 가능성에 본격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SNS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재판 지연을 주장하며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은 현직 검사장이 '일제강점기보다 못하다'고 비판할 정도로 졸속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 너무나도 대비되는 상황"이라고 썼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헌재가 하는 것을 보면 (윤 대통령) 방어권을 제대로 보장 안 해주고 쫓기듯이 지나치게 빨리 진행한다"며 "피소추인이 주장하는 증인 요구를 더 과감하게 수용하고 충분히 변론 기회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양수 사무총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을 서두르는 것과 비교해서 한덕수 총리 탄핵 심판은 눈에 띄게 더디다는 게 가장 큰 의구심"이라고 지적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헌재가 윤 대통령에 대해 완전한 방어권을 보장하고, 오염된 많은 증인 진술과 증거에 대한 검증 절차를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승규 의원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가입한 인터넷 동창 카페에 음란물이 공유됐다는 논란, 친민주당 성향을 드러냈던 과거 기록 등을 이유로 문 권한대행 탄핵 소추안을 발의하겠다고 예고했다. 발의 요건이 100명인 탄핵안에 현재까지 60∼70명이 서명했다고 강 의원은 전했다.

조배숙·김석기 의원은 이날 오전 헌재 앞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 등의 피켓을 들고 항의 시위를 했다.

지난달 윤 대통령 체포를 저지하기 위해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집결했던 의원 40여명은 오는 17일 헌재를 항의 방문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지만, 당 지도부는 여전히 탄핵 인용을 전제로 한 조기 대선에 대외적으로 선을 긋고 있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SBS 라디오에서 '조기 대선을 대비하는가'라는 질문에 "안 한다"라며 "어떤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우리 당이 국민들한테 신뢰를 받기 위한 정책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어떻게든 대선에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 다가왔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도부의 한 관계자는 와 통화에서 "조기 대선의 '조'도 꺼내지 말라는 분위기"라면서 "준비를 하긴 해야 하는데 대놓고 준비하지 못하는 상황이 문제"라고 말했다.

한 중진 의원은 "지금 그(대선) 얘기를 꺼낼 수는 없지만 결국 인용과 기각 두 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 전략기획특위는 이날 회의를 열어 당 홍보·정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청년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별도의 특위 구성과 '청년이 바라본 국민의힘' 주제의 세미나도 열기로 했다.

총선 당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비대위원으로 활동하고 광주 동남을에 출마했던 박은식 당협위원장과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세미나 발제를 맡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