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지난해 발표에 따르면 세계 한류 팬은 약 2억2천5백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해 지구 반대편과 동시에 소통하는 '디지털 실크로드' 시대도 열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류 4.0'의 시대입니다. 동포다문화부 K컬처팀은 독자 여러분께 새로운 시선의 한국 문화와 K컬처를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 칼럼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시리즈는 매주 게재하며 영문 한류 뉴스 사이트 K 바이브에서도 영문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강성곤 KBS 한국어진흥원 운영위원
본인 제공
◇ '했다' 의 남발
"당부드린다"고 했다, "약속했다"고 했다,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실천을 할 수 있었다"고 했다, "실행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했다'를 무려 다섯 번 연거푸 쓴 기사를 접했다. '했다'를 너무 자주 쓰면 무성의해 보인다.
적절한 용언이나 어미를 찾는 노력을 게을리한다는 인상을 주기 십상이다. '했다'는 일종의 전언(傳言) 형식을 띠는 과거형 종결어미로 단순한 첨언이나 그저 덤덤한 보태기 용도가 어울린다.
"그는 뇌물을 요구하지도 받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뇌물을 싫어한다고도 했다."
"감독은 손흥민이 빠르고 골 결정력이 좋다고 칭찬했다. 시야도 넓다고 했다."
이런 정도가 적당하다.
◇ 스텝이 꼬이다
춤은 물론 각종 운동에서도 '스텝'은 쓰이는 용어다. 그러나 아무래도 춤판을 연상하게 된다.
'금마차/백악관/벤허/로마/카니발/터미널/카네기.'
이 땅에서 난데없이 음습하고 끈적한 느낌으로 변해버린 이런 이름의 불야성 간판들이 어른댄다.
'스텝이 꼬이다?'
정치인들이 한 말이라고 치부한다손 치더라도, 어떤 일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쓸 때 일부 언론도 그렇게 적는 걸 보게 된다.
'스텝이 꼬이다'는 교양 있는 표현이라고 보기 어렵다. 언어 감수성이 높은 저널리스트가 공식적인 표현으로는 쓰지 않을 터.
적어도 메이저 언론에서는 피해야 하지 않을까. '계속 엇박자' 정도면 괜찮을 듯싶다.
◇ 물건을 세는 순우리말 단위들
시험용으로 박제할 것이 아니라 이런 것부터 순우리말을 적극 써야 한다는 생각이다. 뭐든 몇 개, 몇 피스 운운하는 언어 현실은 얼마나 부박한가.
먼저 '두름'이 있다. 조기·청어 등 생선은 스무 마리가 한 두름이다. 그러나 나물류는 열 개 정도를 묶은 한 단을 뜻한다.
'손'은 한 손에 잡을 만한 분량을 의미한다. 웬만한 생선, 혹은 무·배추 같은 큰 채소는 큰 것 하나와 작은 것 하나 합한 것을 이르고, 미나리·파 따위는 한 줌 분량을 말한다.
'접'도 있다. 채소, 과일 따위를 묶어 세는 단위다. 한 접은 백 개를 뜻한다. 예컨대 배추·마늘 한 접이다.
'쾌'는 보통 북어를 세는 단위다. 북어 스무 마리를 한 쾌라고 한다.
'모숨'도 알아둘 만하다. 한 줌 안에 들어올 만하되 상대적으로 길고 가느다란 물건의 분량을 일컫는다. 두릅이나 시금치, 열무 등이 해당한다.
'축'이 빠졌다. 오징어 스무 마리를 가리킨다.
◇ 직격탄
요즘 미디어에서 '직격탄을 날리다'라는 표현을 부쩍 많이 접한다. 전쟁, 전투, 폭력을 연상케 하는, 선정적이고 자극적이며 과장된 표현을 언론이 앞장서 쓴다는 것은 지탄받아 마땅한 일이다.
직격탄.
글자 그대로 날아가는 폭탄이다. 뭔가를 날리려 하면 거리(距離)와 동선(動線)이 확보돼야 하고, 어느 정도의 고도(高度)가 필요하다.
곡사포가 아니고, 똑바로 난다고 하더라도 그렇다. 그래서 직격탄(直擊彈)을 '쏘는' 게 아니고 '날린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름지기 사람한테 사람이 입으로 말하는 데 무슨 폭탄을 날리고 퍼붓고 하는가.
더구나 올바른 언어생활의 모범을 보여주어야 할 언론이 말이다. '정면 대응하다', 혹은 '직설(直說)을 던진다' 정도면 될 듯하다.
◇ '깜'의 득세
온통 '깜' 세상이다. 경음(硬音·된소리)이 남발된다는 건 세태가 각박하다는 징후이기도 하다.
대표적 오류가 '감쪽같다'를 '깜쪽같다'로 잘못 사용하는 것이다. 맛있는 과일인 '감의 한쪽'은 얼마나 달콤한가.
그래서 빨리 없어진다는 데서 나온 말이 '감쪽같다'다.
발음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감'은 [감:]이라고 길게 소리 나는 데 비해, '감쪽같다'는 [감쪼까따]로 짧게 난다. 원래 의미에서 멀리 떠나와 버렸기 때문이다.
깜깜무소식?
틀리진 않지만, 웬만한 건 '감감무소식'이라고 해야 순하고 근사하게 들린다. 앞길이 깜깜하다? 그보다는 '캄캄하다'가 듣기에 더 낫다.
'간보기'도 문제가 있다.
여론을 재보는 정치인들의 행태 따위를 언론에서 자주 이렇게 표현하곤 한다. 그러나 '간보기'라는 단어는 없다.
꼭 쓰고자 한다면 '간(을) 보기'라고 해야 한다. 더불어 의미도 잘 따져보면 결이 사뭇 다르다. 음식을 하며 간을 보는 행위는 정성이며 수고라 할 수 있다.
그 순정한 행위를 왜 깎아내리는가. '떠보다' 혹은 '가늠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단어로 '깐보기'가 있다. '간 보기'라는 말을 쓰는 사람들은 '깐보기'를 '간 보기'로 착각하고 있는 것 같다.
강성곤 현 KBS 한국어진흥원 운영위원
▲ 전 KBS 아나운서.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언어특위 위원. ▲ 전 건국대·숙명여대·중앙대·한양대 겸임교수. ▲ 전 정부언론공동외래어심의위원회 위원. ▲ 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언어특위 위원. ▲ 현 가천대 특임교수.
* 더 자세한 내용은 강성곤 위원의 저서 '정확한 말, 세련된 말, 배려의 말', '한국어 발음 실용 소사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정리 : 이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