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부, 배터리 중복투자 방지 대책 발표…"질서있게 수요 확대"
기사 작성일 : 2025-02-19 12:00:58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베이징= 정성조 특파원 = 중국이 자국 기업들의 리튬 배터리 중복 투자 방지와 전국 규모의 배터리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계획을 내놨다.

19일 펑파이·증권시보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8개 부처는 지난 1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신형 에너지 저장 제조업 고품질 발전 행동 방안'에서 "2027년까지 우리나라(중국) 신형 에너지 저장 제조업의 혁신 역량과 종합적 경쟁력이 현저히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리튬 배터리 등 생산능력 모니터링·경보를 강화해 맹목적인 투자와 무질서한 발전 리스크를 예방해야 한다"면서 "각 지역의 과학적이고 질서 있는 에너지 저장 제조 프로젝트를 인도하고, 연구기관에 의뢰해 업계 운영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낮은 수준의 중복 건설을 방지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에너지 저장 배터리 및 핵심 원자재 기업을 재생 에너지와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운송이 편리하며 인프라가 잘 갖춰진 지역에 집중시켜야 한다"고 했다.

당국이 설정한 배터리 분야 '집중 발전' 지역은 창장삼각주(長三角·상하이·장쑤성·저장성·안후이성을 아우르는 동부 경제 지대)와 베이징·톈진·허베이성의 수도권, 남부 광둥성·홍콩·마카오, 서부 청두·충칭, 북부 네이멍구자치주 후허하오터·바오터우·어얼둬스 지역, 남부 양안(중국과 대만) 융합발전시범지역 등이다.

당국은 "과학적이고 질서 있게 유효수요를 확대하고, 신형 전력 시스템 발전 추세에 따르며, 신에너지 소비·이용과 전력 시스템 안전, 경제적 합리성 등 요소를 결합해 신형 에너지 저장 수요를 체계적으로 확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배터리 산업은 당국의 집중 지원 속에 전기차·태양광 분야와 함께 '새로운 세 가지 상품'(新三樣)이라는 전략 산업으로 떠올랐으나 우후죽순 시장에 뛰어든 중국 국내 업체들의 저가 출혈 경쟁과 중복 투자 문제도 꾸준히 지적돼왔다.

중국 배터리 업종 단체인 중관춘에너지저장산업기술연맹(CNESA)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신규 등록 업체는 8만9천100곳으로 2023년 대비 17.9% 늘었고, 경영 등 '상태 이상' 기업은 123.51% 증가한 1만6천곳에 달했다.

류웨이 CNESA 비서장(사무총장)은 최근 입장문에서 "치열한 경쟁이 산업 내 모든 마디에 스며들어 있어 원가 이하 낙찰이 흔하고 수익이 대폭 떨어졌다"며 "기술과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대규모로 도태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