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 조준형 특파원 = 미국 주도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시작하자마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난타전'을 벌이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배는 안갯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양상이다.
미국이 서방을 이끌며 우크라이나의 항전을 지원하는 동시에 러시아를 고립시키던 직전 바이든 행정부 때의 구도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과 러시아가 손잡고, 우크라이나와 유럽을 압박하는 구도로 급변하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쟁을 이유로 대선을 치르지 않은 채 임기 만료 후에도 권좌를 지키고 있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독재자"로 칭하며 "서두르지 않으면 나라를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젤렌스키 대통령을 겨냥해 "미국을 설득해 3천500억 달러를 지출하게 만들었다"며 "미국은 유럽보다 2천억 달러를 더 지출했고 유럽의 돈은 보장되지만, 미국은 아무것도 돌려받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젤렌스키는 아마 '수월한 돈벌이'(gravy train)를 유지하고 싶어 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가 미국과 유럽 등으로부터 막대한 원조를 받고 있는 사실을 비꼬았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는 우리가 보낸 돈의 절반이 없어졌다고 인정한다"고 지적하며 전쟁지원금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비리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같은 날 자국 TV 방송에 나와 "트럼프 대통령은 허위 정보의 공간에 살고 있다"며 자신의 지지율이 4%에 불과하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맞받아쳤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전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미러 회담을 비롯한 미러관계 개선 움직임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3년간 이어진 러시아의 고립을 끝내는 데 도움을 준 것이라 믿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런 모든 것이 우크라이나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미측이 지원의 대가로 우크라이나 희토류 자원 지분 50%를 요구한 데 대해서도 "우리나라를 팔 수는 없다"며 일축했고, 향후 종전 협상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 국민 대다수는 러시아에 대한 양보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대선 선거운동 때 우크라이나 지원에 미온적이었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서방의 '공적'이 된 상황에서 노골적으로 러시아 쪽에 힘을 실어주는 발언은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인 지난 12일 푸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 18일 미러 고위급 회담 등으로 미러관계가 개선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우크라이나와 관련한 '속내'를 여과 없이 드러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언행은 미러관계 개선과 우크라이나 전쟁 조기 종식을 통해 미국의 역량을 최대 전략경쟁 상대인 중국을 견제하는 데 집중하려는 행보라는 분석도 나오지만 '변침'의 속도가 예상을 뛰어넘으면서 국제사회를 놀라게 하고 있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언급 때마다 그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으려 조심하는 듯했던 젤렌스키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을 견제하지 않으면 우크라이나와 자신은 '독배'를 받아들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을 느낀 듯한 모습이다.
일단 우크라이나 전쟁을 대하는 미국의 태도가 크게 달라지면서 전쟁을 둘러싼 국제적 역학관계도 급변하는 양상이다.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자유·민주주의 진영 수호'를 기치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러시아에 맞섰던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대국(大國) 외교'를 통해 러시아와 큰 틀에서 '딜'을 하려 하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접근법으로 인해 그동안 대체로 유지되어온 서방의 대(對)러시아 단일대오가 균열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고, 러시아는 제재 완화 등을 통해 고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기대를 품을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우크라이나는 강대국이 대결을 벌이는 바둑판에서 '버려진 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미국 주도의 구체적인 종전 협상안이 나오기도 전에 서방 진영에서 파열음이 나오면서 전쟁 종식을 위한 외교에는 시작부터 먹구름이 드리운 양상이다.
러시아와 밀월 관계를 보내며 전쟁을 간접 지원하던 중국이 2023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중재 외교에 나섰을 때 서방으로부터 중재자의 위상을 인정받지 못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 역시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신뢰를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로 보이는 것이다.
프랑스 정부 대변인이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이번 전쟁의 책임이 있다는 취지의 트럼프 대통령 주장을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한 것에서 보듯 유럽 국가들의 미국에 대한 시선도 곱지 않다.
앞으로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지원 지속 여부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탈퇴 여부 등을 카드 삼아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다른 나라들로 하여금 미국 주도의 종전안을 수용하도록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국과 러시아가 관계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미국 대(對) 유럽-우크라이나' 사이에는 갈등 전선이 만들어질 경우 유럽과 우크라이나가 선선히 미국의 구상을 수용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 대서양동맹인 나토의 '최대 주주'로서 나토 차원의 우크라이나 지원을 이끌었던 미국의 '전환'은 결국 푸틴 대통령에게 '시간과의 싸움'을 해 나갈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온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