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텃밭에 보복" 캐나다, 美자동차 요금인상·술도 퇴출(종합)
기사 작성일 : 2025-02-02 11:00:5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자료사진]

고동욱 기자 = 캐나다 정재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대로 25% 관세 폭탄을 쏘아올리자 '올 것이 왔다'는 반응 속에서 미국 기업과 제품을 상대로 보복성 대응을 시작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더그 포트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직후 "이제 캐나다는 반격하고, 더 강하게 반격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상응하는 값을 치르도록 할(dollar for dollar) 연방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주지사로서 전폭 지원하겠다"며 "캐나다에는 주요 광물과 에너지, 전기 등 미국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많다. 우리는 이런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방정부는 불공정하고 불법적인 관세에 맞설 모든 법적 대응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캐나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는 미국을 해치고, 미국인들을 더 가난하게 만들 뿐"이라고 경고했다.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주지사는 페이스북에 올린 성명에서 "이 결정은 캐나다인과 미국인 모두에게 피해를 줄 것이고, 양국 간의 중요한 관계와 동맹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미스 주지사는 이어 "우리는 이제는 주요 고객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 된다. 우리의 정치 및 무역 관계를 전 세계로 확장해야 한다"며 "지구상 어느 나라보다 많은 천연자원을 보유한 우리 나라의 경제적 잠재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방정부와 각 주 정부가 캐나다 동·서 해안으로의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액화천연가스 터미널, 정제시설 확충 등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팀 휴스턴 노바스코샤주 주지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구체적 보복 조치를 천명했다.

그는 "노바스코샤주는 미국 기업의 주 정부 조달 입찰을 제한하고 기존 계약을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관세를 이유로 입찰을 전면 제한할 수 있는 조항도 유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관세 발효 하루 전인 3일부터 미국산 상용차의 도로 통행료를 두 배로 올리고, 4일부터 주 정부 산하 주류 공기업의 판매 목록에서 미국산 술을 제외하도록 지시하겠다고 예고했다.

데이비드 이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주지사도 미국의 '레드스테이트'(공화당 강세지역)에서 생산한 주류에 대해 판매 중단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의 후임 후보군으로 꼽히는 마크 카니도 BBC와 인터뷰에서 "상응하는 값을 치르도록 할 대응이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캐나다 에너지 및 천연자원부 조너선 윌킨슨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는 관세를 발생시킬 어떤 행동도 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항상 캐나다인의 수호자가 될 것"이라고 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는 성명을 통해 "관세는 모든 캐나다와 미국인들의 삶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모든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남쪽(미국을 지칭)과 무역할 수 없다면 우리의 교역 파트너를 다양화하고 내부의 불필요한 장벽을 없애 상품과 서비스가 북쪽으로, 동서로 퍼지게 하자"며 "강력하고 단합되고 경쟁력 있는 캐나다 경제는 어떤 역경이 오더라도 번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캐나다 최대의 일반 노동조합인 유니포(UNIFOR)는 "트럼프가 캐나다 노동자를 상대로 경제 전쟁을 선포한 만큼 강하고 빠르게 반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밖에 미국과 캐나다 증류주 협회와 멕시코 데킬라 산업 협회 등 3국의 주류협회도 공동 성명을 내고 "이번 관세는 보복 관세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