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oto.odigital.co.kr/photo/2025/02/06/2025020614150717388189076119.jpg)
밝은 표정으로 답변하는 권영세 비대위원장
김주형 기자 =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6일 국회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2.6
조다운 기자 =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윤석열 대통령과의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당 안팎의 비판에 대해 "공식적으로 출당을 시킨다고 단절이 되나"라며 "(윤 대통령과의) 인위적 거리두기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제대로 거리가 둬지지 않는 부분에 쓸데없는 노력을 하기보다는 우리 당이 지지받을 부분이 뭔지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음은 권 비대위원장과 기자들의 일문일답.
-- '권영세 비대위 출범 이후 당이 안정됐다'는 평가에 대한 소감은 어떤가.
▲ 당이 안정되고 갈등을 봉합했다는 평가에 대해서는 대단히 감사하다. 우리 당이 계엄 이전에 국민에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이유가 여러가지겠지만, 당과 정부의 불협화음과 당내 갈등이 굉장히 불안하게 비쳤다. 그런 것이 해소되면서 나라의 미래를 걱정하는 분들이 '대한민국을 이끌 세력은 보수정당 국민의힘뿐이다'라는 평가를 해주신 게 아닌가 생각한다. 자만하지 않고 열심히 하겠다.
-- 더불어민주당은 조기 대선을 위한 정책적 준비에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어떤 대비를 하고 있나.
▲ 조기 대선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 조기 대선은 탄핵소추가 인용된다는 걸 전제로 하는데 우리가 대비할 것이 아니다. 당이 화합과 쇄신을 통해 국민들 지지를 많이 받게 되면 어떤 시기에, 어떤 선거가 치러지든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자강(自强)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당장 해야 할 일이다.
-- 당 안팎에서는 쇄신을 위해 윤 대통령과 '거리두기'를 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 공식적으로 출당을 시킨다고 단절이 되나.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당했을 때 출당을 시켰는데 단절이 됐나. 잘못한 부분을 고쳐나가는 게 과거와의 단절이지, 외면하고 밖으로 내보낸다고 단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것인가.
▲ 인위적 거리두기에 동의하지 않는다. 누구랑 거리를 두고, 거리가 둬지지 않는 부분에 쓸데없는 노력을 하기보다는 우리 당이 지지받을 부분이 뭔지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
-- 지도부를 비롯한 여당 의원들의 윤 대통령 접견이 당의 확장을 가로막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 직무 정지가 됐어도 현직 대통령이다. 당의 대표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서 당연히 가는 게 맞다. 다만 면회 시간이 30분이고, 교도관이 (면회 내용을) 적고 있는데 거기서 무슨 의미 있는 대화를 하겠나. 그리고 중도층의 '니즈'에 맞는 이슈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도층에 소구하는 방법이지, 오른쪽에 있는 사람들을 아예 안 만나고 해서 중도층에 소구가 되진 않는다.
-- 연일 헌법재판소를 비판하고 있다. 보수정당이 헌재를 공격하는 건 삼권분립 흔들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 오죽하면 헌재를 공격하겠나. 보수의 가치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법치주의이고, 법치주의의 핵심이 법치 기관에 대한 존중이다. 그런데 대통령 탄핵 심판 등 여러 심리 과정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이 보인다. 헌재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헌재의 운영이 국민이 기대하는 방법으로 이뤄지지 않는 데 대한 지적이다.
-- 개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어떤 개헌안을 고려하고 있나.
▲ 1987년 개헌 이후 40년 가까이 흘렀다. 사회상이 변하는 상황에서 우리 대통령들이 재임 중, 재임 이후 불행한 사태를 맞는 경우가 많았다. 그분들 한 분 한 분의 문제라기보다는 헌법상 제도의 문제가 아닌가 하는 지적이 있다. 또 당시에는 국회 의석이 기울어졌을 때 '국회 독재'를 생각하지 못했는데 지금은 대통령, 국무총리, 부총리, 장관, 검사 등 너무 많은 탄핵이 이뤄진다. 이런 부분에서 제도적 견제와 균형이 다시 짜일 필요가 있다.
-- 연금 개혁의 방향과 계획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가.
▲ 모수 개혁이 손쉽게 된다면 모수 개혁을 먼저 하는 것도 필요하다. 구조개혁도 하루빨리 국회 연금개혁특위를 구성해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당은 보건복지위 소위에서 해결하자고 하는데 연금은 단지 복지위 소관이 아니라 기재부, 각종 직역연금을 관할하는 여러 부처가 관여돼 있다. 연금개혁특위를 하루빨리 구성해서 시급한 보험료율을 확정하고, 소득대체율에 대해서는 가급적 빨리 결정하고, 그 다음에 구조개혁에 본격적으로 들어갈 필요가 있다.
-- 반도체특별법 및 '에너지3법'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반도체특별법 처리를 뒤로 미루는 등 협상 로드맵이 있나.
▲ 반도체특별법 처리를 미루자는 얘기는 절대 아니다. 야당의 반대가 덜한 에너지 3법이라도 빨리 통과시키자는 것이다. 세상은 빠른 속도로 변하는데, 법안을 거의 다 합의해놓고 진전이 안 되면 에너지 3법이라도 빨리 하자는 것이다. 반도체특별법도 하루빨리 처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