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무안·고흥·여수 갯벌, 세계유산 도전…확대 등재 신청
기사 작성일 : 2025-02-07 10:01:12

고흥 갯벌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예나 기자 = 생태계의 보고(寶庫)이자 철새 서식지로 평가받는 우리나라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추가 등재에 도전한다.

국가유산청은 지난달 '한국의 갯벌 2단계'(영문 명칭 'Getbol, Korean Tidal Flats(PhaseⅡ)')와 관련한 세계유산 확대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의 갯벌은 멸종위기종 철새를 비롯해 생물 2천여 종이 살아가는 공간이자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자연유산이다.

동아시아∼대양주를 잇는 철새 이동 경로의 중간 기착지이자 대체 불가능한 철새 서식지 보전에 기여하는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무안 갯벌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의 15번째 세계유산이자 2번째 자연유산으로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순천의 갯벌 등 4곳을 아우른다.

국가유산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보호하고 강화하고자 대상 갯벌을 추가하는 확대 등재를 준비해왔다.

앞서 2018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상류동굴군을 추가해 유산 구역을 늘린 적은 있으나, 새로운 유산 요소를 추가한 적은 없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확대 등재로는 국내 첫 사례"라며 "전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많지 않은 데다 2단계 개념도 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서산 갯벌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확대 등재에 도전하는 갯벌은 충남 서산과 전남 무안·고흥·여수 갯벌이다.

국가유산청은 "기존 1단계에 포함된 서천 갯벌과 고창 갯벌, 보성·순천 갯벌은 물새의 이동 범위와 서식 공간을 충분히 포괄하도록 완충 구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낸 등재 신청서는 세계유산센터의 완성도 검사를 거치게 된다.

올해 3월부터 전문심사 기구인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평가를 받은 뒤, 심의 대상에 오르면 2026년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여수 갯벌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가유산청은 "해양수산부, 관할 지방자치단체,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등과 협력해 한국의 갯벌 2단계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유산은 1972년 채택된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심사해 결정한다.

문화유산, 자연유산과 두 유산 성격을 모두 지닌 복합유산으로 나뉜다.

우리나라는 1995년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를 처음 등재한 이후 현재까지 총 16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2026년 세계유산위원회를 유치하고자 준비 중이다. 1977년 처음 세계유산위원회가 열린 이래 한국에서 개최된 적은 없다.


점박이물범


[서산태안환경교육센터 시민조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