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후반기에 벌써 4번째 특위 구성 추진…이번엔 민생
기사 작성일 : 2025-02-09 11:00:35

경남도의회 전경


[ 자료사진]

(창원= 이정훈 기자 = 경남도의회가 12대 후반기 4번째 특별위원회를 구성한다.

도의회는 김태규(통영2) 의원 등 의원 33명이 '민생경제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발의했다고 9일 밝혔다.

김 의원은 "탄핵정국과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져 소상공인, 영세 중소기업이 도산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민생경제 안정에 필요한 실효성 있는 대안이 절실하다"고 특위 운영 필요성을 설명했다.

도의원 15명 이내가 참여해 특위 구성일로부터 1년간 소상공인·영세 중소기업 지원, 건설경기 회복, 주거 안정,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 등을 점검하고 정책 대안을 찾는다.

회기 때 집중적으로 열리는 상임위와 달리, 특위는 회기와 관계없이 특정 현안에 대한 심사, 처리가 가능하다.

도의회는 3월 열리는 제421회 임시회 때 민생특위 구성 결의안을 처리한다.

2024년 7월 출범한 12대 후반기 경남도의회는 지난해 연말부터 올초 사이 웅동1지구 정상화, 부산경남 행정통합, 지역소멸 등 지역·국가적 현안 해결에 힘을 보태겠다며 잇따라 3개 특위를 구성했다.

3개 특위가 갓 출발한 상태에서 민생특위가 새로 생기게 된다.


경남도의회 본회의


[ 자료사진]

12대 전반기 도의회는 2년 동안 일자리대책 특위, 조례정비 특위 2개 특위만 운영했다.

2022년 11월 출발한 조례정비 특위는 1년 예정인 활동기간을 2년으로 늘리며 시대·법령 변화에 맞지 않는 조례 수십여건을 통폐합했다.

일자리대책 특위는 2022년 7월부터 활동했다.

그러나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청년층 유출을 막는 일자리 대책을 찾겠다는 거창한 활동 취지와 달리 '유명무실', '유야무야'했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1년 활동을 종료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자리 만들기용 특위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한 도의원은 "2026년 지방선거가 다가오니 감투 욕심 때문에 특위를 만들어 서로 위원장을 차지하려는 분위기가 없다곤 할 수 없다"고 전했다.

조례정비 특위 위원장을 맡았던 정규헌 도의회 운영위원장은 "특위를 만들기 전부터 세밀하게 활동 목표, 추진계획을 잘 세워야 내실 있고, 집행부를 긴장하게 만들면서 유의미한 결과를 내는 특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