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더위 조선 최고'…1930년대 지역 소개한 '대구안내' 공개
기사 작성일 : 2025-02-10 16:01:17

(대구= 한무선 기자 = 대구시가 10일 일제강점기 대구의 인구, 행정, 산업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가 담긴 자료인 1934년판 '대구안내' 국문 번역본을 공개해 눈길을 모았다.


1934년판 '대구안내' 표지(왼쪽)와 대구부청 등 사진 자료


[대구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안내에는 당대 대구부(大邱府) 지도와 다양한 사진 자료들이 함께 수록돼 있다.

1934년판 대구안내에 따르면 대구 인구는 1906년 약 1만2천 명에서 1933년 10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당시 단거리 교통망이 발달해 대구에서 경상남북도 일대에 자동차가 운행됐다.

또 대구 사과가 일본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와 인도로 수출돼 대구 대표 특산물로 자리 잡았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1930년대에도 대구는 '여름철 더위가 조선 최고'여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1933년 '녹화협회'가 설립돼 대구 전체에 상록수와 관상수를 심기 시작했다.

1931년부터는 제한적인 자치제가 시행돼 대구부윤(현 대구시장)이 의장을 맡는 정원 33명의 부회(현 시의회)가 설치됐다. 일정 금액 이상의 세금을 내야 유권자가 될 수 있었기 때문에 유권자와 부회 의원 수는 조선인보다 일본인이 훨씬 많았다.

이 시기 건립된 공회당(현 대구콘서트하우스),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현 대구근대역사관), 대구의학전문학교(현 경북대 의과대학), 미나카이 백화점 등은 일본인들이 자신들의 식민 지배가 지속될 것으로 생각하고 지은 것들이다.

대구안내는 1905년부터 1934년까지 모두 5차례 간행됐는데, 시는 이 중 1905년판과 1918년판을 2023년 번역해 공개했다. 영남대 일어일문학과 최범순 교수가 책임번역자로 참여했다.

이 밖에도 시는 그동안 '대구부읍지', '대구부사례', '대구민단사' 등 과거 대구를 알 수 있는 고서들을 번역해 공개해 왔다.

이 자료들은 시 홈페이지(https:https://www.daegu.go.kr/)에서 열람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