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oto.odigital.co.kr/photo/2025/02/13/2025021318150717394381074532.jpg)
답변하는 김봉식 전 서울청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 심판 8차 변론에서 답변하고 있다. 2025.2.13 [헌법재판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권희원 이미령 이도흔 기자 =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유를 설명하며 개인 가정사를 언급했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국회 측 이금규 변호사는 13일 8차 변론에 증인으로 나온 김 전 청장에게 "수사기록을 보니 (윤 대통령이) 개인 가정사를 얘기했다고 했는데, 가정사가 뭐냐"고 물었다.
이에 김 전 청장은 "이 자리에서 답변하기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이 변호사가 "비상계엄을 선포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며 가정사를 말했는데 이 자리에서 말하고 싶지 않다는 거냐"고 묻자 김 전 청장은 "네"라며 "뉴스에 나오는 계엄 선포 이유와 결이 다른 부분"이라고 진술했다.
그러면서 "특검이라든지 그런 것과 관련 없이 대통령의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김 전 청장은 계엄 당일 오후 7시20분께 삼청동 안가에서 조지호 경찰청장과 함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전달받은 A4용지 1장 분량 문건에 관해서도 증언했다.
당시 문건에 '2200 국회'라고 적혀있었냐고 묻자 "전체적으로 기억이 나지 않고, '2200 국회'는 앞에 있어서 기억난다"고 했다.
'2200 국회'가 계엄군이 출동할 시간과 장소를 적은 것임을 알았느냐는 질문에는 "지나고 나서"라고 말했다.
김 전 청장은 문건에 국회 외에 다른 장소가 적혀있었던 것은 기억난다면서도 '민주당사'나 '여론조사 꽃'을 본 기억은 이후 언론 보도를 보고 떠올랐다고 진술했다.
이 변호사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받은 쪽지를 제시하며 비슷한 형식의 문건이었냐고 묻자 "잘 모르겠다. 정식 공문서 형태가 아니라 주의 깊게 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전 청장은 계엄 선포 전 문건을 집무실에서 세단기로 파쇄한 것은 맞고 파쇄하면서도 문건을 주의 깊게 보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이나 김 전 장관이 파쇄하라고 한 것이냐는 국회 측 질문에는 "평소에도 보고 파쇄하는 경우가 많아 자연스럽게 그렇게 했다"고 했다.
![](http://photo.odigital.co.kr/photo/2025/02/13/2025021318150917394381090883.jpg)
윤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 출석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2025.2.13 [사진공동취재단]
김 전 청장은 '삼청동에서 윤 대통령이 한 말을 기억나는 대로 말해달라'는 국회 측 요청에는 "기억이 안 난다"고 했고, '단전·단수'라는 말을 문건에서 본 기억은 전혀 없다고 진술했다.
국회에 경찰을 투입한 이유는 단순 질서유지 차원이었고, 국회 봉쇄가 목적이었다면 3천500명 이상의 경찰 인력이 필요했지만 실제 투입은 1천740명이었다고 말했다.
또 "국회 출입 차단 지시를 내렸지 체포 등 구체적 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청장은 오후 10시47분께 국회 1차 통제가 이뤄진 경위에 대해서는 "비상계엄이 실시돼 많은 사람이 일시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계엄군이 출발한다고 하니 안전 차원에서 조치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으로부터 문건을 받은 뒤 기동대 현안을 점검해보겠다고 했는지, 서울청 집무실에 가서 경비 부장과 계장 등을 통해 출동 가능 현황을 확인하고 조 청장에게 보고했는지 등에 대한 질문에는 "재판 진행중이라 답변하지 않겠다"고 했다.
김형두 재판관이 '윤 대통령이 국회에 계엄군이 출동하면 경찰이 질서를 유지하고 계엄군에 협조하라는 말을 했나'라고 묻자 "워딩(발언)이 기억 안 난다"면서도 "전체적 내용이 질서유지에 대해 강조하신 그런 기억이 난다"고 답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계엄군이 왜 국회에 가는지 설명하지 않았냐"고 묻자 "계엄이 선포되면 당연히 주요 시설로 갈 것이라는 정도의 막연한 생각만 했다"고 말했다.
김 재판관은 김 전 청장이 조 청장에게 "비상계엄 정말 하시겠냐. 가상훈련 시나리오 하는 것 아닐까요?"라고 했는지, 조 청장이 "대통령이 기강 확립 차원에서 우리를 시험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라고 말했는지 등도 물었으나 김 전 청장은 답변을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