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中압박에 남아공대표처 '수도 밖 이전·격하' 강요 받아"
기사 작성일 : 2025-02-03 13:01:02

대만 외교부 청사


[EPA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김준억 기자 =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가 중국의 압박에 따라 수도 프리토리아에 있는 사실상의 대만 대사관 이전을 거듭 강요해 대만이 반발하고 나섰다.

3일 대만 자유시보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대만 외교부는 전날 밤 성명을 통해 "남아공 정부가 지난달 말 남아공 주재 대만대표처에 3월 말까지 수도에서 떠날 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남아공 정부가 대만대표처를 '무역사무소'로 이름을 바꿔 격하하려는 시도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앞서 남아공 정부는 지난해 10월에도 대만대표처에 프리토리아에서 요하네스버그로 이전할 것을 요구하면서 불응할 경우 강제 폐쇄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당시 대만 외교부는 남아공 정부가 1996년 중국과 수교 의사를 밝힌 후 1997년 대만과 체결한 협정을 위반했다고 지적하며 이전하지 않겠다고 반발한 바 있다.

이 협정은 대만이 남아공과 단교 후에도 사실상 대사관 역할을 하는 대표처를 프리토리아에 계속 둘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고, 남아공도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 대표사무소를 두도록 허용하고 있다.

대만 외교부는 이번 성명에서도 "지난해 10월 이후 외교 경로를 통해 호혜와 존엄의 원칙에 근거해 협상이 진행 중인데 대표처에 이전을 요구한 것은 중국의 압박이 심해졌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이어 "양자 합의를 일방적으로 위반하는 것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올해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인 남아공 정부는 1997년 대만과 체결한 협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만 외교부에 따르면 남아공 정부는 2023년 8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브릭스(BRICS) 정상회의 참석차 남아공을 방문한 후 대만대표처 이전을 처음 요구했으며 지난해 4월 공식적으로 '하나의 중국' 원칙 등을 이유로 이전 시한을 통보했다.

한편, 대만 수교국에 대한 중국의 단교 압박에 따라 현재 대만 수교국은 12개국으로 줄었다. 이들 국가 다수는 남태평양과 카리브해에 있는 소규모 섬나라로 아프리카에는 거의 남아공에 둘러싸인 작은 왕국인 에스와티니가 유일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