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정 4자회담 '기싸움'…與 '연기' 요구에 野 '불가' 반발(종합)
기사 작성일 : 2025-02-07 18:00:41

원내대책회의 참석하는 권성동 원내대표


류영석 기자 =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5.2.7

이유미 설승은 조다운 기자 = 여야는 7일 주요 민생·경제 정책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정 국정협의회 4자 회담' 일정을 놓고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이날 더불어민주당이 4자 회담에서 다룰 주요 정책을 마음대로 밀어붙이려 한다며 의제 조율을 위한 실무 협의를 위해 회담 일정을 미루자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다음 주 초 회담을 열기로 한 실무협의 합의 내용을 깬 것이라며, 예정대로 4자 회담을 열어야 한다고 반발했다.

4자 회담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참석 대상인 회의체로, 반도체 특별법과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연금 개혁 이슈 등을 둘러싼 여야의 주도권 다툼이 회담 일정을 둘러싼 신경전으로 번지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민주당이 반도체특별법과 국민연금 개혁 등에 일방적인 입장을 발표했다면서 4자 회담을 연기하자는 입장을 의장실에 전달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이 전날 반도체특별법에서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빼자는 입장을 보인 데 대해 "노동계 반발이 심해지자 이 대표가 기존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라고 했던 이 대표의 발언도 결국 거짓이었음이 증명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국회 연금특위 위원장직도 민주당에 양보하겠다는 뜻을 밝혔음에도 민주당은 복지위에서 모수개혁을 강행 처리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야정 국정협의체 개최를 약속한 지 이틀 만에 (주요 의제를) 민주당 마음대로 할 생각이었으면 협의체는 왜 하자고 이야기한 건가"라고 되물었다.

김 정책위의장은 추경 편성과 관련해서도 "주 52시간 근로 예외를 인정할 수 있는 반도체특별법, 연금특위에서 연금개혁안을 논의하기로 결정되는 시점에 추경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며 "추경 필요성은 여야가 공감하지만, 선행 의제를 정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실무협의에서 의제 협의를 못 하고 국정협의회에서 난상토론으로 결정하는 건 무리일 것 같아, 실무협의서 교통정리를 하고 국정협의회 일정을 잡으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정책조정회의 연 민주당


류영석 기자 =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2025.2.6

야당은 이에 대해 "갑자기 본회담 연기를 요구하는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공연히 어깃장을 놓지 말고 즉시 국정협의회에 나오라"고 촉구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입장문에서 "반도체특별법 처리 후 추경을 논의할 수 있다는 국민의힘의 연계전략도 납득할 수 없지만 추경을 연금개혁특위 설치와도 연계하는 듯한 태도는 더욱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은 추경과 반도체특별법 등 미래산업 입법이 서로 연계될 수 없고 시급히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반도체특별법의 미타결 세부 쟁점은 계속 논의하되 합의 사항을 중심으로 우선 입법하자는 입장도 지속 피력해 왔고, 국민연금 모수개혁은 복지위에서 우선 처리하고 구조개혁은 연금특위를 설치해 논의해 나가자는 입장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실무회담에서 이 같은 입장을 피력했음은 물론"이라며 "양당의 입장 차이에도 불구하고 지도부가 국정협의회 본회담에서 논의해 타결해보자는 것이 지난 실무회담의 합의이거늘 이를 파기하고 연기를 요청한 데 대해 거듭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