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1천억원씩 투입해 이공계 '국가대표' 연구소 만든다
기사 작성일 : 2025-02-10 12:00:32

국가연구소 2.0 사업 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조승한 기자 = 10여개 대학에 10년간 1천억원씩을 투입해 융복합 연구거점이 될 '국가대표급' 부설 이공계 연구소를 구축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10일 '국가연구소'(NRL 2.0) 사업을 확정해 공고한다고 밝혔다.

국가연구소는 세계적 수준 연구를 선도할 대학 부설 연구소를 선정해 매년 100억원씩 최대 10년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1999년부터 운영돼 대학 연구생태계 확충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는 국가지정연구실(NRL) 사업의 이름을 땄으며 연구책임자를 지원하는 기존 NRL과 달리 대학을 선정해 지원하는 게 특징이다.

이번 사업은 대학이 학과 중심 운영 등으로 글로벌 연구 경쟁력이 뒤처지고 있는 데다 인구감소와 해외 인재 유출 등으로 연구생태계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양 부처는 설명했다.


국가연구소 사업 목표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해외 주요국은 대학이 연구원 수백명에 달하는 대형 연구소를 구축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연구 경쟁력을 키우고 있지만 한국은 연구원 5명 이하 연구소만 70%에 달하는 등 공동 연구 수준이 미약한 상황이다.

이런 배경에는 부처별로 지원이 분산돼 대형·융복합 연구 수행이 어려웠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 사업은 양 부처가 예산을 절반씩 투입해 사업 전반에 걸쳐 협업하는 형태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4개 연구소를 선정하며 내년과 내후년까지 각각 4개 연구소를 추가 선정하는 게 목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전체 지원 규모는 1조1천600억원 규모로 탁월한 대학 연구소 소수를 운영하는 게 목적"이라며 "현재 연구 중심대학 약 30여개 정도가 탁월하다고 보면 10여개 정도가 충실히 운영되는 게 취지에 적당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선정된 연구소는 예산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블록펀딩'(묶음예산) 방식으로 지원하며 연구인력 확충 및 연구시설과 장비 구축, 국내외 공동 연구개발 등을 자유롭게 추진할 수 있다.


국가연구소 사업 추진전략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가연구소는 ▲ 세계 최고 수준 연구 경쟁력 확보 ▲ 부처·학문 주체 간 경계 허물기 ▲ 대학별 자율적 투자 보장 등을 주안점으로 운영한다.

지원 대상은 대학의 이공분야 대학 부설 연구소로, 기존 연구소를 재편하거나 신설해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소 발전계획, 대학의 연구소 육성 의지 등을 평가하며 올해 선정된 연구소는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한다.

국가연구소는 대학 본부 소속 직할 연구소로 운영되며 겸임 교원 및 전임연구원, 행정지원 인력 및 장비 엔지니어, 박사후연구원 등으로 인력을 구성해 운영한다.

이번 사업 추진에 맞춰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기존 집단연구와 연구소 지원 사업도 체계화해 계속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교육부는 대학 역량별 연구소 지원 체계를 구축해 국가연구소와 대학기초연구소지원(G-LAMP), 글로컬랩으로 이어지는 '대학 혁신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대학연구혁신 프로젝트


[교육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첨단 연구의 전초기지인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은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한 과제"라며 국가지정연구실에 이은 국가연구소 사업이 국내 대학 연구역량 재고에 기폭제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학의 자율성에 기반을 둔 혁신적 연구생태계 구축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한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국가연구소 사업으로 대학의 연구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국내 대학의 연구소가 국제사회의 연구 혁신을 이끌고 국내외 인재들이 몰려드는 연구 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보면 된다. 양 부처는 24일 온라인, 27일 현장 설명회를 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