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유출은 막고 생활인구는 늘려 경남 인구 330만명 유지한다
기사 작성일 : 2025-02-05 15:00:34

2030년 경남 총인구 330만명 유지


[경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 이정훈 기자 = 경남도는 5일 도청에서 2025년 인구대책 추진계획 회의를 열어 총인구 330만명 유지를 목표로 지난해 수립한 인구위기 감소대응 종합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회의에는 경남도와 18개 시군 인구담당 부서장, 전문가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도는 지난해 9월 합계출산율 1.0명 회복, 청년인구 비중 20% 유지, 외국인력 10만 명 유입을 통해 2030년에도 총인구 330만명을 유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12월 기준, 경남 인구는 등록 외국인 10만2천333명을 포함해 333만713명이다.

2017년 345만명을 정점으로 매년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경남은 전국적인 저출생·고령화 현상에 더해 진학이나 좋은 일자리를 찾아 20∼30대가 수도권 등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 매년 인구가 감소한다.


2019∼2024년 경남 인구 추세


[경남도 홈페이지 캡처]

도와 18개 시군은 올해 '저출생 극복', '청년인구 유출 대응', '생활인구 확대'라는 3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10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결혼·임신·출산·주거안정 지원, 일·가정 양립 지원, 24시간 돌봄 체계를 구축해 출생률을 높인다.

대학 경쟁력 강화,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 확충, 산업인력과 일자리 불균형 완화, 청년 공간 조성 등 방법으로 청년인구 유출을 막는다.

또 외국인 유입·정착 지원, 농어촌 활력 제고, 방문인구 확대를 통해 생활인구를 늘린다.

도와 18개 시군은 내년부터 결혼공제,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급에 나선다.

도, 시군이 함께 각 가정이 매달 일정액을 적립하는 가정에 일정액을 지원함으로써 자산 형성을 돕고 아빠가 육아휴직을 쓰도록 뒷받침하는 기업에 장려금을 지원한다.

회의를 주재한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지난해부터 출산율이 반등하는 등 유의미한 변화 추세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경남 세대 및 인구


[홈페이지 캡처]

댓글